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은성 분단희곡 연구

이용수 294

영문명
A Study on Kim Eun-seong’s Divisional Plays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최상민(Choi Sang Min)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3권 5호, 655~68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김은성의 희곡<연변엄마>(2011),<목란언니>(2012),<썬샤인의 전사들>(2016)에 나타나는 분단희곡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두 가지이다.첫째,분단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각에 나타난특징적인 지점을 확인하는 것이다.둘째,대상 작품들에 나타나는 극적 형상화가 지닌특징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논의 결과,이들 작품에 나타나는 공통된 주제의식은 첫째,참혹한 이 땅의 현실과이런 현실의 천민성에 스스로를 가두고 동일화되어가는 인간성의 상실을 비판적으로드러내고자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둘째,이런 현실에 맞서 현실과 역사를 넘어서기 위해 필요한 독자/관객의 ‘성찰과 인식적 전환 및 결행의 촉구’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 이런 주제의식을 극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한 몇 가지 특징적인 지점들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첫째,등장인물들은 일정한 희극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과 함께 그의 희극성을 유발하는 지점들에서 특징적인 지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둘째,서사구도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서사의 시공간이 뒤섞이며,나아가 현실과 초현실이 뒤섞이는 독특한 서사구도와 전개를 보여준다는 점이었다.이런 그의 극양식적 지점들은 양식상의 문제에서 그의 작품들이 거둔 대중적인 성공의 근거가 된다고 생각했다.셋째,오브제가 끌어가는 서사의 힘이다.특히 손수건/ 망치/수첩/거울 등의 오브제들은 각각 독특한 의미를 지니며 일정한 극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그의 이야기들이 ‘안타까움과 연민’이라는 지점에만 머물러 있다는 비판적 견해도있다.하지만,본고에서는 일부 그런 지적들을 수용하면서도 가능하면 분단극복의 가능성을 찾아 현실의 경계를 넘고자 하는 주체의 성찰과 실천을 전경화함으로써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려 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aspects of divisional plays appearing in Kim Eun-seong’s plays (2011), (2012), and (2016). There are two specific research goals. First, it is to argue that the author’s perspective on divisio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division plays. Second,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matic figuration of the target plays.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ere are two common themes that appear in these plays. First, these plays imprison themselves in the harsh reality of this land. And critically reveal the loss of humanity that is being identified with the vulgar reality. Second, these plays call for reflection and cognitive transformation of the reader/ audience necessary to confront this reality and overcome it. These plays show several characteristics to dramatically shape the subject. To summarize, First, the characters show a certain comedy. And new perspectives can be found in points that cause comedy. Second, these plays is a characteristic that appears in the narrative composition. These plays shows a unique narrativ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in which the time and space of the narrative are mixed, and furthermore, the reality and the surreal are mixed. I considers thes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his plays are to be the basis for the popular success of his plays in matters of style. Third, The characteristic that appears in his plays is the power of narrative lead by the object. In particular, objects such as handkerchiefs/hammers/ notebooks/mirrors have unique meanings in the narrative. Also, they play a certain dramatic role. The author’s stories remain at the point of ‘pain and compassion’. There are also critical views. However,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he introduces char-acters who reflect on their reality and strive to show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division in his works.

목차

1. 서론
2. 성찰적 인식과 결행의 촉구
3. 극적 형상화에 나타난 특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상민(Choi Sang Min). (2022).김은성 분단희곡 연구. 리터러시 연구, 13 (5), 655-685

MLA

최상민(Choi Sang Min). "김은성 분단희곡 연구." 리터러시 연구, 13.5(2022): 655-6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