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보 민태원 논설 연구

이용수 311

영문명
Woobo Min Tae-won’s Newspaper Article Column Stud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나소정(Nah Soj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3권 5호, 603~654쪽, 전체 5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9,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청춘예찬>을 집필한 작가로 알려졌으나 학술연구의 장에서 주목받지못하였던 우보 민태원의 저작들을 분석한 것이다.민태원은 교과서에 수록되어 널리알려진<청춘예찬>에 대한 큰 호응에 반해 문학사에서 무명에 가까운 인물이라고 할수 있다.1910년대로부터 1930년대에 이르기까지 직업 기자로 재직하며 근대 초창기 주요 언론장에 왕성하게 활동하였던 민태원은 창작소설과 수필 및 희곡,번안소설과 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저작들과 논설들을 남겼다.그러나 민태원은 한국문학사와 한국언론사에 파편적으로나마 그 이름이 언급될 뿐 그의 활동과 저작 전반에 대한 학적 연구가 깊이 있게 조명된 바가 없다. 식민 조선의 지식인이자 문필가로서 다방면에서 활동하였던 문사 기자 민태원의작품세계를 살펴보기 위한 기초자료로 본고에서는 민태원의 논설들에 주목하였다. 민태원의 저작 활동 전반에 있어서 창작자료와 달리 논설자료들은 그의 사상적 지향및 작가의식의 일면들을 보다 직접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료로 주목할 가치가 있다.이 글에서는 우선 민태원의 논설자료 원전들을 확인하고 기존의 작품 연보에 누락되었던 자료들을 발굴하여 논설 자료 전체를 목록화하였다.이를 토대로 민태원이남긴 논설들을 발표연대순으로 살펴보며 연대기별 주요한 쟁점과 논설의 전개양상을개괄하고,논설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계열별로 유형화하여 그가 주요하게 다루었던논설의 핵심적인 내용과 특질들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민태원은 문을 통해 실익을 추구하는 저널리스트로서 식민 조선의 문제적 현실을 철저히 근대적 개인의 문제로 환원하고 전문성을 겸비한 지성과 인격을 도모하는 실용주의 노선을 의식적으로 지향하는 태도를 보였다.그의 논설들은 민족보다는 조선의 독서대중을 호명하는 방식으로,이념보다 대중의 생활과밀접한 실용주의로 일관하고 있으며,이는 검열과 통제의 경계에서 제도권 내에 복무하기를 택한 것이라고 해석된다.민태원은 자신의 한계를 명확히 인지하며 문필 활동 전반에 걸쳐 직업적 전문성을 요구하고 그것에 충실한 근대적 개인의 삶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우보의 논설자료 목록화,현대어로의 번역 정리,미발굴 자료의 수집 및분석 등,민태원의 논설에 대한 서지적 접근과 실증적 분석을 통해 학술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또한 근대 초창기 언론을 개척한 선구적 인물인 동시에 신문 편집에 혁신을 가하며 지면 쇄신 및 현대어 사용 등 후대 신문의 형태와 편집에 큰 영향을 미쳤던 그의 활동과 업적 전반을 입체적으로 재구하는 데에 유의미한 토대가 되어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rganize, and analyze the newspaper article columns of Woobo Min Tae-won. Min Tae-won is famous for his essay “cheongchun-yechan”, but his academic research has not progressed. As a professional journalist and writer, he composed noteworthy works in various fields and this study focused on Min Tae-won’s newspaper article columns. They are a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that provide insights about his ideological orientation. All of Min Taewon’s columns were identified and cataloged in this study. Including the newly discovered materials. In this article, his columns are arranged by order of presentation. Significant issues and development patterns were outlined by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column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Min Tae-won exhibited characteristics of a journalist pursuing real interests through his columns. He appeared to consciously aim for a pragmatic line that thoroughly reduced the problematic reality of colonial Joseon to modern individual problems and promoted intelligence and character with expertise. His columns are consistent with a pragmatism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masses rather than an ideology, in a way that calls out the reading public of Joseon rather than the nation. This is interpreted as choosing to serve within the system at the border of censorship and control. Min Tae-won clearly recognized his limitations, demanded professional expertise throughout his literary activities, and emphasized the modern life of an individual faithful to it. This study cataloged Ubo's column data, arranged translations into modern languages, and collected and analyzed undiscovered data. It will be meaningful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academic research through a bibliographic approach and empirical analysis of Min Tae-won’s column. Moreover, as a figure who pioneered the press in the early days of modernity, he innovated newspaper editing, and simultaneously provided a meaningful foundation fo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hi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greatly influencing form and editing of later newspapers, such as renewing space and using modern language.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will be a useful foundation for a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hi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form and editing of later newspapers as a pioneer who shaped the media in the early modern period.

목차

1. <청춘예찬>의 문사기자 민태원
2. 조선의 독서대중을 위하여
3. 지식 청년의 실용주의 저널리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소정(Nah Sojung). (2022).우보 민태원 논설 연구. 리터러시 연구, 13 (5), 603-654

MLA

나소정(Nah Sojung). "우보 민태원 논설 연구." 리터러시 연구, 13.5(2022): 603-6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