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버닝>의 서사 전략 연구

이용수 343

영문명
A Study on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Movie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한래희(Han Laeh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3권 5호, 413~44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영화<버닝>에 나타난 서사 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서사적 모호성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버닝>은 미스터리 장르를 채택하고 있지만 의혹이풀리기보다는 모호성의 해소가 계속 유예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기존 연구들에서는 벤을 비정한 악인으로 단순화하여 해석함으로써 서사적 모호성과 벤 간의 연관성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한 한계를 보이고 있다.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버닝>의 서사 전략을 ‘타자의 욕망;개념에 주목하여 분석해 보았다. <버닝>은 멜로물의 형식으로 시작하지만 벤이 등장하면서 미스터리로 급격히 전환된다.영화는 벤을 의심스러운 비밀의 소유자로 인식하게 만드는 요소들을 하나씩 제시해 가며 미스터리를 증폭시킨다.벤의 등장 이후 종수와 벤을 계급적 대립 구도 속에서 보게 만들면서 동시에 종수가 벤의 욕망에 대한 매혹과 의심이라는 양가감정에사로잡혀 있음을 부각시킨다. <버닝>의 후반부 서사의 특징은 해미의 실종 이유 찾기와 벤의 비닐하우스 버닝 여부 확인이라는 두 사건을 관련짓는 방식이다.영화는 종수가 벤의 뒤를 쫓는 장면과종수의 의심을 오히려 의심하게 만드는 요소들을 이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종수와의거리 두기를 유도한다.또한 ‘현실/꿈’의 경계를 흐리는 장면들을 활용하여 눈앞에 나타나는 현실이 종수의 환상이 아닐까라는 의심을 증폭시킨다. 엔딩의 버닝 시퀀스는 내용적으로는 해미를 죽인 벤에 대한 복수를 내용으로 하지만 살인의 형식은 벤의 말에 기초하고 있다.즉 종수의 욕망을 분절하는 것은 ‘버닝’에대한 벤의 욕망이다.불타는 차를 뒤로 하고 현장을 떠나는 엔딩 장면은 종수가 벤의욕망의 수수께끼를 풀고 그를 죽인 것일까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요컨대<버닝>의 서사적 모호성은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분노와 욕망의 정체에 대한 섣부른 판단의 유보이자 거부를 의미한다.<버닝>은 불확실성의 시대에 오늘날의젊은 세대를 지배하는 분노의 정체와 표출 방식에 대해 새롭게 성찰할 것을 요청하고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newly interpret the meaning of narrative ambiguity through an analysis of narrative strategies in the movie . adopts a mystery genre, but rather than solving suspicions, the resolution of ambiguity continues to be postponed. Existing studies have shown limitations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en and narrative ambiguity has not been properly identified by simplifying and interpreting Ben as a heartless villain. In this paper, the narrative strategy of was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others’ desires under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Burning begins as a melodrama, but it rapidly turns into a mystery as Ben appears. The movie amplifies the mystery by presenting elements one by one, which make Ben perceived as the owner of a suspicious secret. After Ben’s appearance, Jong-su and Ben are seen in a class confrontation, while at the same time it is highlighted in the movie that Jong-su is obsessed with the ambivalent feeling of fascination and doubt about Ben’s desire. The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half of Burning’s narrative is the method of linking the two events: finding the reason for Hammy’s disappearance and confirming whether Ben’s greenhouse is burning. The movie induces distance from Jong-su by placing double elements that make Jong-su doubt rather than a scene where Jongsu follows Ben. In addition, scenes that blur the boundaries of “reality/dream” are used to amplify the suspicion that the reality that is apparent may be Jong-su’s fantasy. The Burning ending sequence ostensibly contains revenge for Ben, who killed Hammy, but the form of murder is based on Ben’s words. It is Ben’s desire for Burning that is gripping Jong-su’s desire. The ending scene where Jong-su is leaving the burning car behind and leaving the scene raises questions about whether he solved the mystery of Ben’s desire and killed him. In short, the ambiguity inherent in the narrative of “Burning” is meant as a reservation and rejection of hasty judgment on the identity of anger and desire that dominates our time. “Burning” asks for a new reflection on the identity and expression of anger that dominates today’s younger generation in an era of uncertaint

목차

1. 서론
2. 계급적 대립과 타자의 욕망이라는 수수께끼
3. 모호성을 증폭하는 두 개의 서사적 장치
4. 엔딩 시퀀스: 복수와 환상 사이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래희(Han Laehee). (2022).영화 <버닝>의 서사 전략 연구. 리터러시 연구, 13 (5), 413-443

MLA

한래희(Han Laehee). "영화 <버닝>의 서사 전략 연구." 리터러시 연구, 13.5(2022): 413-4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