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와 다층적 면모

이용수 299

영문명
Poetic speaker and multilayered aspect of Goryeo’s song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하성운(Ha seong-woon)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2권 5호, 511~54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려속요는 본디 다기한 형성과정을 갖고 있고, 작품 속의 시적화자도 다양한 면모들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가요의 시적화자를 실제 시인과 구별되는 가면을쓰고 연출되는 극적 인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에 대한 면모를 살펴보고, 아울러 그것이 선초에 개작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시적화자의 변동성에 대해 추적하였다. 본고에서는 고려속요 시적화자의 면모를 탐색하기 위해 단성적인 경우와 다성적인경우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먼저 고려속요 작품에서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을 살펴보았다. 같은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도 발화방식이나 어조 등에서 각각의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한 작품에서 여러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은 단성적인 시적화자의 경우와는 작품 성향이 달랐다. <(고려)처용가>에서는 악귀를 쫓아내고 복을 비는 벽사진경의 나례 의식에서 역할에 따라 여러 인물이 등장하면서 다수의 시적화자가 필요했다. <서경별곡>은 남녀로 보이는 2명의 시적화자가 대화를 주고받으며 가창된 것으로 판단된다. <쌍화점>에서는 연희 공간에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 노래로 말을 주고받는 형식이었다.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고려속요는 대부분 연희 무대라는 공간에서 불렸던 특징이 있었다. 선초 속악가사의 개작과 관련하여 시적화자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고려속요의시적화자는 1명의 단성적인 목소리가 나오거나 다수의 다성적인 목소리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같은 일인칭 시적화자의 속요라 하더라도 작품마다 발화방식이나 어조가서로 달랐다. 반면에 조선초기에 고려속요를 체제 옹호적인 내용으로 개작하면서 시적화자도 변동을 겪게 된다. 선초에 고려속요가 개작된 속악가사에서는 시적화자가획일적으로 규범화되며 한결같이 교술적인 목소리로 바뀌었다.

영문 초록

Goryeo s folk songs have a very diverse process of forming, and the poetic narrator in the works has various aspects. In this paper, the poetic speaker of Koryo was viewed as a dramatic figure known to wear a mask that distinguished him from the actual poet. Based on this, the poetic speaker of the Goryeo genus was examined, and the variability of the poetic speaker that occurs in the process was tracked. In this paper, we divided the aspects of the poet of Goryeo into monolithic and polyphonic cases. First, we looked at the works featuring a poet in the Goryeo folk song. Even if the same poetic speaker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ech methods and tones. On the other hand, works featuring several poetic speakers together had a different tendency than those of monophonic poetic speakers. In <(Goryeo)Cheoyonga>, several characters appeared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Narye ceremony of the wall photography scene, which kicked out evil spirits and blessed them, requiring a number of poetic speakers. is believed to have been sung by two poetic speakers, who appear to be male and female, while exchanging conversations. In , many poetic speakers appeared in the Yeonhui space and exchanged words with songs. Most of the Goryeo folk songs featuring a large number of poetic speakers were sung in a space called theatrical Stage. We looked at the variability of poetic speakers in relation to the adap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st-track lyrics. The poetical speaker of Goryeo s folk songs had one single voice or a number of multiple voices. Even if it was the same first-person poet s inner voice, each piece had a different way of speaking and a different tone. On the other hand, the poet and the narrator also experienced a chang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the Goryeo song was adapted into a system-friendly content. In the lyrics of the song, which was adapted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 poetic speaker was uniformly standardized and changed to a uniformly instructive voice.

목차

1. 들어가며
2. 고려속요와 시적화자의 문제
3.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와 발화적 특성
4. 선초 속악가사의 개작과 시적화자의 변동성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성운(Ha seong-woon). (2021).고려속요의 시적화자와 다층적 면모. 리터러시 연구, 12 (5), 511-543

MLA

하성운(Ha seong-woon).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와 다층적 면모." 리터러시 연구, 12.5(2021): 511-5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