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글해득이 늦은 초등학교 1학년 남학생의 한글해득 경험 연구

이용수 222

영문명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First-Grade Male Student Who was Late in Learning Hangeul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문연희(Yeon Hee Moon)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8권 제1호, 351~37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1.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글해득이 늦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은 한글해득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이 경험의 현상학적 특징과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석학적 현상학에 기초하여 한글해득이 늦다는 특정 맥락 속에 있는 한 학생이 어떤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 경험의 현상학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Van Manen(2014)이 제안한 인간이 세계를 경험하는 실존적 토대인 공간성, 시간성, 신체성, 관계성, 물성에서 어떤 체험을 했는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글해득이 늦은 한 초등학교 남학생은 한글해득 과정에서 어려움, 성공, 좌절을 경험했고, 연구참여자 체험의 현상학적 특징은 빈 교실, 고군분투의 시간, 목소리, 자립, 받아쓰기 공책이었다. 이러한 한글해득 경험 의미는 배움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회복한 성장 과정이었다. 결론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학적 순환으로서 연구자는 한글해득 과정에서 학생의 주체성 및 자율성의 중요성과 학생이 배움을 지속하고 스스로 노력하게 만드는 ‘하나의 경험’이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글해득 과정에서 학생이 겪는 어려움과 성장 동력을 이해하고, 학생 입장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육적 개입을 계획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Hangeul literacy process experienced by first-grade male students, who were late in learning Hange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literacy process experience and the meaning for first-grade students, who are late in learning Hangeul. Methods: Qualitative and phenomenological method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I analyzed literacy experience into five existential areas which are spatiality, temporality, corporeality, relationality, and materiality. Results: The result of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s: the student has experienced the lived space is an empty classroom; the lived time is a struggle for the student; the lived body is voice; the lived relationship is independence, and the lived things are dictation notes. Conclusion: As a hermeneutic cycle of the research results, I discovered the importance of students agency, autonomy and ‘one special experience’ that encourages students to continue learning in the process of learning Hangeul.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growth engines that students face in the literacy process. In addition, we can plan appropriate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 s point of view.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현상학적 연구
Ⅲ. 도약이는 한글해득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Ⅳ. 도약이 경험의 현상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Ⅴ. 도약이가 체험한 한글해득의 의미는 어떠한가?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연희(Yeon Hee Moon). (2022).한글해득이 늦은 초등학교 1학년 남학생의 한글해득 경험 연구. 교원교육, 38 (1), 351-370

MLA

문연희(Yeon Hee Moon). "한글해득이 늦은 초등학교 1학년 남학생의 한글해득 경험 연구." 교원교육, 38.1(2022): 351-3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