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암(懈菴) 김응정(金應鼎)의 가곡(歌曲)에 대한 후대인의 평가와 그 의의

이용수 27

영문명
Next Generation’s Evaluation of Songs By Haeam Kim Eung-Jeong and The Meaning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박명희(Park, Myoung-Hui)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9집, 35~6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해암 김응정의 가곡에 대한 후대인들의 평가 내용을 정리하고, 그 의의를 언급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다. 김응정은 느낌을 받으면 노랫말을 지어 가슴 속에 와 닿는 것을 힘껏 풀어내었는데, 그 결과 「문명묘승하작」ㆍ「소분설」ㆍ「직첩하작차불기」ㆍ「김병사피나시작차증지」ㆍ「문반정」ㆍ「탄공자」ㆍ「척거흉당」ㆍ「감회」 등의 가곡을 창작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김응정 사후 후대인의 평가는 크게 세 갈래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째, 애도 시인들의 평가 내용을 살폈다. 김응정이 세상을 뜨자 여러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를 남겼다. 현재 남아있는 시 작품으로는 백상현이 지은 「애김처사」, 서봉령이 지은 「은괄해암김처사문」 및 「우추도삼절」, 「우은괄봉명결」, 윤항서가 지은 「차서매학은괄가곡운」, 신명규가 지은 「차매학운도해암」 및 「우화도리곡」, 이몽제가 지은 「추회선생운」 및 「우차봉황대운」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작품 중에서 가곡을 평가한 것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오이건이 쓴 「김해암가곡집서」와 오희겸이 쓴 「제해암가곡집후」, 최정익이 쓴 「제선생집후」에 담긴 김응정의 문학 작품 평가 관련 내용을 추출해 실상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셋째,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이자 평론가인 이하곤의 평가 내용에 귀를 기울였다. 이하곤의 평가는 김응정 사후 시간이 많이 흐른 시점에 강진 현지에서 들은 내용을 기록을 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후대인들은 김응정의 가곡 중에서 「문명묘승하작」ㆍ「문반정」 두 작품을 가장 많이 거론했음을 특징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김응정은 벼슬을 했던 사람도 아니고, 더군다나 서울과 멀리 떨어진 강진에서 살고 있었다. 그럼에도 그의 작품성을 인정하고, 후대인들이 지속적으로 평가했다는 점에 그 의의를 부여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next generation’s evaluation of Haeam Kim Eung-Jeong’s songs and suggest the meaning. Kim Eung-Jeong travelled a lot to search for good sceneries as he liked nature and sometimes built pavilions at the places he visited to take a rest during traveling. Also when he was inspired to write songs, he expressed what was felt to his heart’s contents. As a result, the following songs were created and have been inherited: 「Munmyeong- Myoseung-Hajak」ㆍ「Sobunseol」ㆍ「Jikchop-Hajak-Chabulki」ㆍ「Kimbyeong -Sapina-Sijak-Chajeongji」ㆍ「Munbanjeong」ㆍ「Tangongja」ㆍ「Cheokgeo -Hwungdang」 and 「Gamhui」. This study categorized next generation’s evaluation after his death into three parts: First, mourners’s evaluation was investigated. When Kim Eung-Jeong was dead, many poets wrote poems expressing sorrow. Extant poems were 「Aekimchusa」 by Baek Sang-Hyeon, 「Eungwalhaeam Kimcheosamun」, 「Woochudosamjeol」 and 「Wooeun- gwalbong-myeonggyeol」 by Seo Bong-Ryeong, 「Chaseomaehak- Eungwalgagokun」 by Yoon Hang-Seo, 「Chamaehakundohaeam」 and 「Woohwadorigok」 by Shin Myeong-Gyu, 「Chuhoisunsaengun」 and 「Woochabonghwangdaeun」 by Lee Mong-Je. This study gave a focus on the evaluation of songs. Second, what was evaluated on his literary works was extracted from 「Kimhaeam Gagok Jipseo」 by O Ee-Geon and 「Jehaeam Gagokjiphu」 by O Hee-Gyeom, and 「Jeseonsengjiphu」 by Choi Jeong-Ik. Third, this study listened to what Lee Ha-Gon, a scholar painter and reviewer of the late Joseon period, evaluated his literary works. It was considered that Lee Ha-Gon’s evaluation has meaning in that what was heard from Gangjin was recorded long after Kim Eung-Jeong was dead. Finally, this study pointed out that next generations mentioned 「Munmyeong-Myoseung-Hajak」 and 「Munbanjeong」 the most. Kim Eung-Jeong was lived in Gangjin far away from Seoul as well as he was not an official. However, this study gave a meaning to the fact that next generations have continuously recognized his literary creativity.

목차

1. 머리말
2. 김응정의 문예 기질과 가곡
3. 김응정 사후(死後) 후대인의 평가
4. 평가의 특징과 의의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명희(Park, Myoung-Hui). (2021).해암(懈菴) 김응정(金應鼎)의 가곡(歌曲)에 대한 후대인의 평가와 그 의의. 한국문학논총, 89 , 35-63

MLA

박명희(Park, Myoung-Hui). "해암(懈菴) 김응정(金應鼎)의 가곡(歌曲)에 대한 후대인의 평가와 그 의의." 한국문학논총, 89.(2021): 35-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