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445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Death Anxiety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Becoming the Dying Age Deceased Parents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김현숙(Hyunsook Kim) 김봉환(Bongwhan Kim)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7권 제3호, 145~192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을 이해하고 그 본질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어떠한가?”이다. 연구자는 51세-59세의 여성 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2004)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상황적 구조 기술과 일반적 구조 기술로 나누어 기술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황적 구조 기술에서는 46개의 드러난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자는 이를 ‘무너진 하늘: 부모 죽음의 충격’, ‘부모의 삶과 나의 운명은 복사본’, ‘삶의 중턱에서 마주친 위기가 소환한 죽음불안’, ‘상실의 고통을 안고 생존의 바다를 가로지르기’, ‘언제나 곁에 있는 부모의 빈자리’, ‘가슴 속 깊이 묻어두었던‘나‘를 만나고 위로하기’, ‘다시 만난 중년의 부모를 부둥켜안기’, ‘죽음을 응시하고 수용하기’, ‘상실의 상흔을 간직한 유한한 존재로서의 성숙’의 9개의 본질적 주제로 구성했다. 이를 통해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의 본질은 ‘슬픔을 간직한 채, 삶을횡단한 죽음과 화해하는 과정’으로 귀결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에 대한 논의를 했고, 이후 의의와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ath anxiety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reached the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and to reveal the essence of them. The research question set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s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death anxiety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reached the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female participants aged 51-59 year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The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tuational statements and general structure statement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ituational statement, 46 topics were derived.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ir recovery experiences mean ‘sky is falling: shock of parents’ death,’ ‘my destiny to live an identical life of parents’,’ death anxiety resurfacing by a crisis at the middle of life,’ ‘crossing the sea to survive the pain of loss,’ ‘absence of parents who used to be always by my side,’ ‘meeting and comforting me I had buried deep in my mind,’ ‘hugging middle-aged parents I met again,’ ‘staring at death and embracing it,’ and ‘maturity as a mortal being, keeping the scars of loss.’ Through this, the essence of the death anxiety experience of a middle-aged woman who has reached the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has been concluded as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with death running through life while keeping sorr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death anxiety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becoming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and then presented their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숙(Hyunsook Kim),김봉환(Bongwhan Kim). (2021).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질적탐구, 7 (3), 145-192

MLA

김현숙(Hyunsook Kim),김봉환(Bongwhan Kim).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질적탐구, 7.3(2021): 145-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