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회복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404

영문명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utoethnography on the Recovery Process from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장세린(Chang, Se rin) 정윤경(Chung, Yun-kyoung)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7권 제3호, 231~26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초등학교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과 그 회복과정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권침해 교사의 경험을 통해 교권침해 문제해결을 어렵게 하는 학교의 구조적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공론화를 통해 학교 차원에서 교권침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연구방법은 경험 당사자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들려줄 수 있는 자문화기술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침해경험과 회복과정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침해경험은 교권침해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는 학교 시스템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보여주고, 학부모와 학생에 의한 교권침해 경험을 보여준다. 교권침해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은 첫째, 관리자 교체와 더불어 공론화를 위한 연구자의 노력으로 학교 차원의 연대 형성이 가능했고, 둘째, 학부모와 관계 회복 셋째, 교사로서의 권위와 수업권 회복이 필요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침해 문제를 공론화하고 학교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을 가진 관리자가필요하다. 둘째, 암묵적 능력주의에 젖은 교직 사회의 분위기와 교사들의 인식이 변화할 필요가있다. 셋째, 교권 보호를 위한 절차 중심의 해결 방식이 수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권 회복의 최종 목표는 수업의 정상화이며, 교사의 원활한 수업을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고민해 볼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s aims to shed light o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and its recovery process.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the structural mechanisms of schools that make it difficult to solve problems of teachers’ rights infringem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ers’ rights violations,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at the school level through public discussion, not by individual teachers. For the research method, autoethnography was adopted as it could effectively speak the voices of experienced pa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argely described as damage experiences and recovery processes. The damage experience shows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school system that make it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and shows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by parents and students.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the challenge against teaching authority implicated first, it was possible to form a solidarity at the school level with researchers’ efforts to make public discussions along with the replacement of managers, second, restor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hird, recover the authority and teaching rights of teach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manager with transformative leadership is needed to have public discussion on and resolve the issue at school level. Second, the attitude relying on implicit competence in teaching society a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need to change. Third, procedure-oriented solutions to protect teaching rights should be revised. Lastly, the final goal of restoring teachers’ rights is normalization of classes, and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what support is needed to help teachers lead their classes seamlessly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세린(Chang, Se rin),정윤경(Chung, Yun-kyoung). (2021).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회복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7 (3), 231-265

MLA

장세린(Chang, Se rin),정윤경(Chung, Yun-kyoung).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회복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7.3(2021): 231-2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