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

이용수 180

영문명
The Aspects of Familism Presented in Women’s Novels in the 1960’s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임선숙(Lim Sun Sook)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2권 3호, 659~68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0년대는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근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시기로,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었다.이로 인해 가족의 구조와 역할이 변하고,새로운 가족주의도 등장하게 된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960년대는 1950년대 보수화된 여성의식에 대한 반성이 이루어졌던 시기로 여성의 정체성 인식과 사회비판 의식이 작품에 형상화되었다.1960년대 가족주의는 여성소설에서 두 가지 양상으로 드러나는데,첫째 중산층 가족의 남성은 경제활동,여성은 가사와 양육이라는 성별분업이 시작되면서 이상화된 가족의 모습이 제도화되었다는 것,둘째 물화된 가족과 가족 이기주의가 사회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다.우선 강신재의 「황량한 날의 동화」,한말숙의 「어느 여인의 하루」,「아기 오던 날」 에서 여성인물들은 결혼 생활과 제도화된 가족 내 여성의 희생을 억압으로 인지하고여성의 정체성을 인식하게 된다.하지만 억압에 대해 적극적인 탈주 의지를 보이기보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제시하는 데 머물러 있는 경향이 있다.강신재의 「호사」,한무숙의 「대열 속에서」,박경리의 「귀족」에서는 물화된 가족과 배금주의 세태를 비판한다.이는 1960년대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검약을 미덕으로 삼고 물질만능주의의 세태와 가족 이기주의를 경계했던 풍조가 형상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이 시기 여성소설은 가족의 문제를 사회 문제로 확장해 인식하고 억압된 여성의 위치에 대해 문제 제기함으로써 여성 의식의 진일보한 면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있다.

영문 초록

The 1960s was when modernization really began in Korea an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s industrialization changed the structure and roles of the family, new familyism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familyism revealed in women’s novels in the 1960s. As family structures and roles changed with industrialization, a new form of familyism emerged. At this, this study aimed to observe aspects of familyism that appear in women’s novels of the 1960s. Also, if women’s novels showed tendencies of conservatism in the 1950s due to effects of the war, the 1960s were a period of reflection upon this and awareness of the female identity and awareness of social criticism were embodied into their work. Aspects of familyism in the 1960s can be organized into two types in women’s novels. First, industrialization brought with it tendencies of systemized ideal family images as gender division began with males being put in charge of economic activities and females being put in charge of housework and childcare. Second, the materialized family and family selfishness became subjects of social criticism. First, female characters in Kang Shin-jae’s 「A Fairy Tale of a Desolate Day」 and Han Mal sook’s 「A Day of a Woman」, and 「The Day the Baby Came」 acknowledge the suppression of female sacrifice within married life and the systemized family along with the female identity. However, they tend to acknowledge and present problems instead of displaying an active will to escape suppression. Kang Shin-jae’s 「Extravagance」, Hahn Moo-sook’s 「In Line」, and Pak Kyong-ni’s 「Aristocrats」 criticize materialized families and states of mammonism. This was a strategy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1960s and it reflected familyism, which established frugality as a virtue and was cautious of social conditions based on materialism.

목차

1. 서론
2.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
3. 결론: 1960년대 여성소설과 가족주의 연구의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선숙(Lim Sun Sook). (2021).196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 리터러시 연구, 12 (3), 659-686

MLA

임선숙(Lim Sun Sook). "196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 양상." 리터러시 연구, 12.3(2021): 659-6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