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로토닌의 생행동 간호연구 적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99

영문명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erotonin in Biobehavioral Nursing Research: Literatur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전상은(Jun, Sang-Eun) 김나현(Kim, Nahyun)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3 No.4, 1793~180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로토닌 관련 비약물적 중재연구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생리적 지표로서의 세로토닌의 중요성과 생행동 간호연구 분야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문헌분석을 위해 미국국립의학도서관의 데이터베이스인 PubMed와 국내의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세로토닌을 측정지표로 포함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를 검색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문헌의 기준은 1) 비약물적 중재(non-pharmacological intervetion), 2) 인간(human), 3) 영어(English)였으며 최종적으로 25개의 논문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8편의 논문이 무작위대조군 연구였으며 17편은 유사실험설계로 이루어졌다. 비약물적 중재는 운동(56%), 아로마요법(8%), 마사지(8%), 요가(8%)가 적용되었으며 기타 중재로 빛요법, 웃음요법, 원예요법, 이압요법, 식이제한 등의 중재가 적용되었다(20%). 16편의 연구에서는 중재 후 세로토닌이 유의하게 증가하거나(15편, 60%) 대조군에 비해 잘 유지되었고(1편, 4%), 5편의 연구에서는 감소하였으며(20%), 그 외 4편의 연구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6%). 또한 24편(96%)의 연구에서 세로토닌은 우울증과 같은 사회심리적 상태를 객관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세로토닌은 사회심리적 건강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유용한 생리적 지표임을 확인하였으므로추후 사회심리적 측면 이외 다양한 생행동 간호연구분야에 확대 적용하여 간호중재의 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ie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applicability of serotonin as a physiological parameter in the field of nursing research. Literature review was systematically conducted to search the existing publishe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ies in PubMed, a Medline data base of the National Library Medicine, and several Korean databases.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this review were 1)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2) human, 3) English. Finally, 25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review.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used in eight studies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were used in seventeen studie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cluded exercise (56%), aroma therapy (8%), massage (8%), yoga (8%), and others (20%), such as light therapy, laughter therapy, horticultural therapy, auricular acupressure, and dietary restriction. The serotonin level wa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intervention in 21 studies (84%), of which increased in 15 studies (60%), maintained in 1 study (4%), but decreased in 5 studies (20%). However, 4 studies (16%) did not show the changes in serotonin level after intervention. In 24 studies (96%), serotonin was utilized as a parameter to objectively reflect the sociopsychological conditions such as depression. Therefore, our research findings suggested that serotonin is a useful physiological indicator that can reflect socio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s,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effect of non-pharmacological nursing intervention more objectively by expanding it to biobehavioral nursing research related to various health problems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상은(Jun, Sang-Eun),김나현(Kim, Nahyun). (2021).세로토닌의 생행동 간호연구 적용 가능성 탐색.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 (4), 1793-1809

MLA

전상은(Jun, Sang-Eun),김나현(Kim, Nahyun). "세로토닌의 생행동 간호연구 적용 가능성 탐색."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4(2021): 1793-18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