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용 고사리 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이용수 45

영문명
Analysis of Spatial Autocorelation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허만규(Man Kyu Huh)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3 No.4, 1937~194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L.) Kuhn var. latiusculum (Desv.) Underwood)는 잔고사리과(Family Dennstaedt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의 야산에 흔히 분포한다. 본 연구는 한국 내 두집단에 대해 패치(patch)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종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분산지표를 비롯한 Lloyd의 평균운집, Morisita index 등을 사용하였다. 이웃 규칙(Neighbor Rule) 방법에 의거하여 관측된 거리와 예측되는 거리의 비는 8×16 ㎡까지는 1보다 상회하였다. 고사리 집단은 소규모와 중간규모의 격자(2×2 ㎡ - 8×16 ㎡)에서는 응집형태를 나타내었고 큰 플롯(16×16㎡)에서는 일정 또는 임의분포를 나타내었다. 변수 척도 C, M*, PAI는 2×2 ㎡ 플롯과 2×4 ㎡ 플롯에서는 1보다 작았다. 그러나, 4×4 ㎡ 에서 8 x 8 ㎡ 플롯에서는 1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위해 모란의 I값(Moran s I value)을 분석하였는데 16 경우 중 11개(68.8%)는 예상한 값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첫 4 등급까지는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 중 세 경우(I~III, 6 m)는 유의성을 나타내었는데 유사한 개체들로 구성되어있음을 나타낸다 10.0m 내에서 유사한 개체들의 응집이 관찰되지만 10.0 m를 초과하면 이질성 개체들로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고사리 집단의 지속가능한 보존전략을 수립하는데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야산에서 뿐만 아니라 고사리를 농가에서 재배할 때 집단 크기 등 고사리 생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teridium aquilinum (L.) Kuhn var. latiusculum (Desv.) Underwood is a perennial herb in the family Dennstaedtiaceae and is frequent found in wild mountain regions of Korea. This work aims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patchiness of this species at two local populations in Korea.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is species was estimated by analyzing ecological data by methods including the index of dispersion, Lloyd’s mean crowding, and Morisita’s index. According to the Neighbor Rule method, the ratio of average viewing distance/ expectation value (R) was higher than 1 up to 8 x 16 ㎡. The populations of P. aquilinum var. latiusculum were aggregately distributed in small and middle scale plots (2 x 2 ㎡ - 8 x 16 ㎡) and uniform or random distributed in a large scale plot (16 x 16 ㎡). The variance indicators C, M*, and PAI were lower than 1 in the 2 x 2 ㎡ and 2 x 4 ㎡ plots. However, it was greater than 1 from 4 x 4 ㎡ to 8 x 8 ㎡. In For the spatial autocorrelation, Moran s I value, 11 out of 16 cases (68.8%)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expected value (p<0.05). The first four classes were positive. Three of them showed significance, indicating similarity among individuals in the first three distance classes (I~III, 6 m). Within 10.0 m, plants with similar properties aggregate, but at a distance greater than 10.0 m, plants with heterogeneous properties appear. The results presented here coul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onservation of P. aquilinum var. latiusculum and for the rehabilitation, sustainable management of forest ecosystems, and effective population sizes on cultivated fields as well as mountains.

목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4.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만규(Man Kyu Huh). (2021).식용 고사리 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 (4), 1937-1946

MLA

허만규(Man Kyu Huh). "식용 고사리 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4(2021): 1937-1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