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응급외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일과 삶의 균형이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11

영문명
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and Work-life Balance of Trauma Center Nurses on Secondary Trauma Stress Response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임예령(Ye Ryeong Lim) 박완주(Wan Ju Park)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3 No.4, 1907~192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응급외상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일과 삶의 균형을 파악하고, 응급외상 간호사의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C시에 위치한 외상센터가 있는 병원에서 일하는 174명의 응급외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 사후검정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직무배태성은 평균은 5점 만점에 3.01±0.44, 일과 삶의 균형은 평균은 5점 만점에 2.76±0.60점,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의 평균은 48.07±11.28점으로 나타났다. 응급외상 간호사의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과 삶의 균형의 하위영역 중 일-가정 균형(β=-.531, p<.001), 일-성장 균형(β=-.227, p=.001) 순으로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2단계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전체 회귀분석 모형에 대한 총설명력은 53.3%이었다. 본 연구는 응급외상 간호사의 이차 외상 스트레스관리와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학문적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속적 연구를 통한 체계적 관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ffectively manage human resources in emergency and trauma nurses and provide primary academic data to develop stress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174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at a general hospital designated at a regional trauma center were the su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secondary traumatic stress response of emergency and trauma nurses were in the order of work-family balance (β =-.531, p<.001) and work-growth balance (β=-.227, p=.001),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raumatic stress response. The total explainability of the entire regression model was 53.3%. Therefor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rauma centers that can improve work-life balance, which i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secondary traumatic stress responses of emergency and trauma nurses, is needed that requires a systematic practice to reduce the secondary trauma stress response of emergency trauma nurse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예령(Ye Ryeong Lim),박완주(Wan Ju Park). (2021).응급외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일과 삶의 균형이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 (4), 1907-1922

MLA

임예령(Ye Ryeong Lim),박완주(Wan Ju Park). "응급외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일과 삶의 균형이 이차성 외상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4(2021): 1907-19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