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상 및 토양 데이터를 활용한 장단기 메모리 모형 비교

이용수 52

영문명
A Comparison of LSTM Models Using Meteorogical and Soil Data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양정화(Jeong Hwa Yang) 최수훈(Su Hoon Choi) 임남희(Namhui Im) 이상현(Sang-Hyun Lee) 김민수(Min Soo Kim)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3 No.2, 589~59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토양 습도는 작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작물의 성장기에 토양습도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모니터링 하는 것은 농업 생산량 증대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토양습도는 복잡한 구조적 특성과 기상 요인의 영향으로 인해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토양 습도와 기상데이터와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 기상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기상 및 토양 데이터를 활용했으며 데이터 수집은 결측값이 없고 충분한 데이터가 있는 세 지역을 선정했다. 관측기간은 201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로 일자별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의 데이터를 학습시켜 2019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토양습도를 예측한다. 예측 모형으로는 장단기 메모리(long short term memory : LSTM)와 장단기 메모리 오토인코더(LSTM Autoencoder : LSTM AE)를 사용한다. LSTM Autoencoder 모형은 극단적인 이벤트 발생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특징을 추출하는 특성이 있어 보다 정확한 토양습도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두 모형 모두 시퀀스(sequence)를 변경해가며 다음 날 토양습도를 예측하여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 RMSE)와 평균절대오차(mean absolute error : MAE)를 통해 예측력을 비교한다. 그 결과, LSTM 모형에 비해 LSTM Autoencoder 모형의 예측력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다면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Soil humidity is one of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of crops, and accurate prediction of soil humidity has a great impact on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on. 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predict soil humid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structures and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inkage between soil humidity and meteorological data. In this study, we used meteorological and soil data provided by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of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For data collection, we selected three regions with no missing values and sufficient data. Train data from January 1, 2015 to December 31, 2018, and predict the soil humidity from January 1, 2019 to December 31, 2019. The prediction model uses long short term memory(LSTM) and long short term memory Autoencoder(LSTM AE). Predict the soil humidity for the next day, modifying all sequences in both models, and compare the predictive power using RMSE and MA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predictive power of the LSTM Autoencoder is further strengthened as compared with the LSTM.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predictive power can be further improved by utilizing various deep learning technique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론
3. 분석 결과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정화(Jeong Hwa Yang),최수훈(Su Hoon Choi),임남희(Namhui Im),이상현(Sang-Hyun Lee),김민수(Min Soo Kim). (2021).기상 및 토양 데이터를 활용한 장단기 메모리 모형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 (2), 589-598

MLA

양정화(Jeong Hwa Yang),최수훈(Su Hoon Choi),임남희(Namhui Im),이상현(Sang-Hyun Lee),김민수(Min Soo Kim). "기상 및 토양 데이터를 활용한 장단기 메모리 모형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2(2021): 589-5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