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화법 교육에서 대화 성찰 교육의 적용과 효과

이용수 178

영문명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Reflective Conversation Education in Undergraduate Speech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박성석(Park Seong Seo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1호, 269~312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에서는 대학 화법 교육의 일부로서 행해지는 대화 교육이 학습자의 대화성찰을 촉진하는 방향에서 행해져야 한다고 보고 이를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제안한다. 나아가 교육을 실제 적용하였을 때 효과가 있음을 보이는 한편 학습자가 수행한 대화 성찰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화 의사소통의모형과 대화 성찰의 필요성과 방법을 교육 내용으로서 제안하였고, 성찰일지 쓰기를 교육 방법으로서 제안하였다. 대학생 37명에게 이러한 교육 내용과 방법에 따라 대화 성찰 교육을 적용한 결과 이들의 대화 성찰 태도는 사전에 평균=3.812, 표준편차=0.320에서 사후에 평균=4.001, 표준편차=0.311로 확인되었다. 대응표본t검정 결과 사후-사전의 차이는 α<.05 수준에서 유의하며(t=3.593, df=36, p=.001), 이를 “중간” 효과크기로 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Cohen’s dz=0.591). 대학생 참여자 중 태도 향상률이 높고 교육 이후 집단 내에서 최상위 수준의 태도에 도달한두 명의 학습자를 모범 사례로 선정하여 이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당혹스러웠던 경험의 회상, 갈피를 잡기 어려운 딜레마의 포착, 자신과 타인의반응, 믿음, 전제에 대한 점검, 문제의 원인 분석과 대안 행동 계획 수립 등을 행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ed contents and methods of the conversation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thoughts that conversa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 way that facilitates the learners reflection. I further attempted to demonstrate that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is effective and examined specifically the learners reflection in their reflective journals. A communication model for conversation and the need and method of reflection were proposed as educational contents. The reflective journal writing was adopted as the educational method.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on 37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that the mean of the participants reflective attitude toward conversation was 3.812 (sd = 0.320) in the pre-test and 4.001 (sd = 0.311) in the post-test. A paired t-test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s significant (t = 3.593, df = 36, p = .001). The result also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corresponds to the “medium” effect size (i.e., Cohen s dz = 0.591). Two learners who have a high rate of attitude improvement and who have reached the highest level of reflective attitude were selected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s exemplary samples. The result showed that learners have recalled perplexing experiences, captured disorienting dilemmas, examined themselves or someone else s responses, beliefs, and premises, analyzed causes of their own problems, and established alternative action plan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ies in the conclus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석(Park Seong Seog). (2019).대학 화법 교육에서 대화 성찰 교육의 적용과 효과. 리터러시 연구, 10 (1), 269-312

MLA

박성석(Park Seong Seog). "대학 화법 교육에서 대화 성찰 교육의 적용과 효과." 리터러시 연구, 10.1(2019): 269-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