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무숙의 전후 단편에서 남녀 화자의 언어층위 분석

이용수 107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Languages of Male and Female Speakers in the Post-war Short Stories of Han Moo-sook : For the Works Contained in New Korean Literature Collection: Special Edition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안미영(Ahn Mi Yo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1호, 399~43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한무숙의 전후 단편소설을 대상으로 작중 화자의 언어 층위에 주목하였다. 기존의 한무숙 문학 연구가 여성문제, 감정과 감각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는데, 기실 이를 추동하는 기본적인 힘은 작중 인물의 의식과 언어 대한 예민한 감각에 있음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한무숙의 전후단편은 『신한국문학전집-특별판』(어문각, 1981)에 수록된 작품을 텍스트로 삼았다. 전후 단편소설에서 남성 화자의 언어는 주로 독백을 통해 자의식을 드러낸다. 그는 자신을 둘러싼 전후 피폐한 현실에 눈뜨고 윤리의 소환을 화두로 삼고 있다. 나아가 남성 화자는 자신을 둘러싼 주위 인물을 응시하고 교감함으로써 자기를 성찰하고 상처받은 자신을 치유해 나간다. 전후 단편소설에서 여성 화자는 일상생활의 언어를 구사하고 감각의 언어를 구현한다. 특히 여성 화자가 주인공인 경우, 여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왜곡된 성(性) 문제를 생명의 시각으로 확산하여건강한 생명의 윤리를 만들어 나가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남성 화자와 여성 화자의 이러한 차이는 남성과 달리 여성에게 개인의 온전한자율권도 부여하지 않은 전후(戰後)의 보수적 사회 풍토에서 기인한다. 1950년대한국사회에서 남성이 인간으로서 부여되는 자율권을 온전히 누릴 수 있었던 데 비해, 여성은 사회의 규범과 틀 속에 가두어진 채 여성 자신의 생물학적 자율권도 허용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런 까닭에 작중 여성 화자의 언어는 남성 화자에 비해 생활의 언어에 종속되어야 했다. 그들은 어조에 있어서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인간으로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명제를 제시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On Han Mu-sook s post-war short stories, this paper noted the linguistic layer of the writer in writing. Traditional Han Mu-sook literature research has been discussed around women s problems, feelings and sensations. But the basic force behind this pursuit is to ensure that it lie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person in the composition and a keen sense of language. Han Moo-sook s post-war short story is based on the work in New Korean Literature Collection-Special Edition (1981). In postwar short stories, the language of male speakers reveals self-consciousness mainly through monologues. He is open to the postwar and postwar realities surrounding him, and takes the summons of ethics as the main topic. Furthermore, the male speaker is reflecting on himself and healing himself by looking at and interacting with the person around him. In postwar short stories, the female speaker speaks the language of everyday life and embodies the language of the senses. Especially when the female speaker is the protagonist, the focus is on women s problems. It suggests that distorted sex problems should spread to the point of view of life to create a healthy philosophy of life. Where does this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peakers come from? It shows that unlike men, women are not allowed to have their own full autonomy. In the 1950s, Korean society was able to fully enjoy the autonomy that men were granted as human beings, whereas women were not allowed to have their own biological autonomy with the society locked in the norm and framework. That s why the language of female speakers had to be subordinate to that of male speakers. They were also sensitive in tone and had to present the most basic proposition for human beings.

목차

1. 서론
2. 남성 화자의 의식과 언어 층위
3. 여성 화자의 의식과 언어 층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미영(Ahn Mi Young). (2019).한무숙의 전후 단편에서 남녀 화자의 언어층위 분석. 리터러시 연구, 10 (1), 399-433

MLA

안미영(Ahn Mi Young). "한무숙의 전후 단편에서 남녀 화자의 언어층위 분석." 리터러시 연구, 10.1(2019): 399-4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