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년여성의 불행감과 연극 대본 연습을 통한 치유

이용수 95

영문명
Identity of ‘Unhappiness’ in Middle Aged Women and Healing through ‘Script’ Practice - Focus on Movie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구선정(Koo Sun J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0권 2호, 447~47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4년에 개봉한 올리비에 아사야스(Olivier Assayas) 감독의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Clouds of Sils Maria)>는 중년여성의 나이 듦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영화다. 특히 중년여성에게 직면한 문제들과 불행감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치유의 방법으로 연극 대본 연습 과정을 제시하고 있어 의미가 있다. 마리아는 ‘말로야 스네이크’ 연극에서 상사를 유혹하여 자살에 이르게 하는 젊 은 시그리드 역으로 스타덤에 오른 후 지금까지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배우다. 그러나 ‘말로야 스네이크’ 리메이크 작의 헬레나 역을 제의 받으면서 자신이 더 이상 시그리드(젊음)가 될 수 없다는 것 때문에 불행해진다. 중년여성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젊음이 소멸되고, 다양한 역할에서 배제되고, 인간관계에서 소외되고 고립되면서 여성으로서 점점 자신의 가치를 잃어가는 것 때문에 불행감을 느낀다는 것을 마리아를 통해 알 수 있다. 본 영화는 중년여성의 심리 치유 방법으로 연극 대본서사를 제시하고 파트너와 함께 연극 대본 연습을 제안한다. 즉, 대본을 통해서는 자기의 내면을 되돌아보게 하고 대본 연습을 통해서는 파트너의 공감과 지지를 바탕으로 자기를 발견하고 회복하게 하는 것이다. 발렌틴은 대본 연습 과정을 통해 헬레나의 내면적 가치를 끌어내어 이를 바탕으로 순수하고 인간적이고 자유분방하고 관록이 있는 마리아만의 특별한 가치를 깨닫게 한다. 마리아는 대본 연습 과정에서 분노-대립-의존-조절 단계를 거쳐 불행감을 치유하고 건강한 자기 정체성을 구축한다. 한편, 대본서사를 통해서 마리아는 대본 속 인물들과 만나면서 낯설거나 망각하려고 했던 자신의 내면을 되돌아보게 되고 시그리드(젊음)와 헬레나(나이 듦)을 내면화하면서 자기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렇게 본 영화는 치유의 서사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본 연습은 마리아가 나이 듦이라는 문제에 직면하여 치열하게 고민하고 갈등 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여 부정적이라고 생각했던 자기의 측면들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대본 연습의 파트너였던 발렌틴은 중년여성의 삶이 충분히 가치 있고 존중받을 만하다는 것을 마리아에게 심어주면서 좋은 상담자의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영화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는 치유서사를 통해 현대 사회 중년여성이 직면한 문제들과 그로 인한 복잡한 심정·치유의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적으로나 치료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Director Olivier Assays’ (hereafter ), released in 2014, is a film that fully shows middle aged women’s complex feelings about aging as it is.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film is, not only because it well shows the problem of middle aged women’s aging which Maria Andas faced, but above all the identity of anxiety and healing process are performed through ‘script practice’. The interesting point of the film is, it doesn’t show the performance actually on the stage, but only shows the script practice and rehearsal till the play performance, however it well describes Maria’s inner conflict and psychological change. The play pulls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ity and the fiction just like overlapping Maria’s life. Maria gradually immerses in the strong emotion of the character in the script, facing the real figure of self that she wished to evade. Also, she confirms her identity and grows through the script practice. When changing such characteristic to the viewpoint of literature therapeutics, it can be said that the work narration (script) complements and reinforces self narration by influencing self narration (Maria’s life), eventually changing her life healthy and rich.

목차

1. 서론
2. 중년 여성의 불행감에 대한 이해
3. 연극 대본 연습을 통한 치유 과정
4. 치유 영화서사로서의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선정(Koo Sun Jung). (2019).중년여성의 불행감과 연극 대본 연습을 통한 치유. 리터러시 연구, 10 (2), 447-475

MLA

구선정(Koo Sun Jung). "중년여성의 불행감과 연극 대본 연습을 통한 치유." 리터러시 연구, 10.2(2019): 447-4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