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지개혁에 의한 사찰토지소유관계의 변화

이용수 15

영문명
The Transforming Buddhist Temple s Traditional Landownership by the Korea Agricultural Land Reform : A Case Study of Beobju Temple in Boeun-Gun, Chungcheongbuk-Do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유진채(Jin-Chae Yoo) 김용의(Yong-Ui Kim)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9 No.1, 209~22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불교사찰 지주의 농지개혁에 대한 대응과 그 결과를 조사하여 그것이 가지는 역사적 함의(含意)와 관련하여 불교사찰의 전통적 공동체적 토지 소유의 변모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평가하고 기존의 한국농지개혁 성과에 대한 평가와 관련하여 사례조사로서 어떤 함의를 가졌는가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 사례로부터 연구되어야 할 세 가지 가설적 연구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는 6.25가 농지개혁에 미친 영향이 반동적이었다는 점이다. 둘째는 농지개혁 후에도 사찰의 농지가 상당히 유지됨으로써 사찰이 갖고 있던 지주적 성격과 지주적 이데올로기를 유지시켰으며, 사찰제도 개선을 막고 전통적 유제를 온존시켰다는 점이다. 셋째는 농지개혁이 지주제를 해체시켰지만 이상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작농제를 확립시키기에는 매우 불철저했으며 종교단체의 지주적 농지 소유가 갖는 의미의 중요성에 의하여 경제발전에 따라 요구되는 농지제도의 개혁이 저지되거나 무력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buddhist temple s land lord on agricultural land reform in Korea, to evaluate final results and impacts on transforming temple s traditional landownership, and applying their historical implication on rest of whole agricultural landownership.Beobju-Temple owned 109.7ha of agricultural land in 1945. Most of agricultural land were cultivated under traditional tenant system by temple s tenant that reside inside and outside temple s living site in Boeun-Gun area.During the periods of February-April, 1949, one year before agricultural land reform law declared, of agricultural land sold 20ha of owned agricultural land to her tenants prior to agricultural land reform.During the beginning year of 1950 84ha of Beobju-Temple s agricultural land was distributed to her agricultural tenant conditioned with paying 3 year gross revenue by 5 year with even split. After the Korean War occurred 55ha of distributed agricultural land which was located within 2km around Beobju-Temple was returned by Lee presidential admonition. As a result 57 ha of Beobju-Temple s agricultural land was distributed to her agricultural tenant and still owned by Beobju-Temple after agricultural land reform. According to this result we could conclude agricultural land reform on religious group owned agricultural land was nat successful and deteriorated. It s historical meaning and implication could expend on limiting success meaning of whole Korean agricultural land reform and obstacles to improve institution of agricultural landownerships.

목차

1. 서론
2. 농지개혁이전의 법주사 토지소유규모와 역사적 성격
3. 농지개혁법의 매수제외농지 규정과 대통령 유시
4. 농지개혁에 의한 법주사 토지소유 규모의 변화
5. 농지의 방매과정과 결과
6. 분배농지의 반환과정과 결과
7.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진채(Jin-Chae Yoo),김용의(Yong-Ui Kim). (2007).농지개혁에 의한 사찰토지소유관계의 변화.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9 (1), 209-221

MLA

유진채(Jin-Chae Yoo),김용의(Yong-Ui Kim). "농지개혁에 의한 사찰토지소유관계의 변화."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9.1(2007): 209-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