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협동학습의 상호의존성 구조와 신뢰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협동과 집단적 효능감 및 성과기대의 차이

이용수 51

영문명
Differences in University Students Cooperation, Collective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as a Function of Interdependence and Trust of Cooperative Learning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민윤기(Yoon-Ki Min) 문은식(Ehun-Shik Moon) 한건환(Gun-Hwan Han) 박명실(Myeongsil Park)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9 No.1, 371~38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협동학습의 상호의존성 구조와 신뢰 수준에 따라 대학생의 협동, 집단적 효능감, 그리고 집단적 성과기대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186명이었고, 설문지(협동, 집단적 효능감, 집단적 성과 기대 척도 포함)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원변량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은 협동학습의 상호의존성 구조와 신뢰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적 효능감은 협동학습의 신뢰 수준에서만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적 성과기대도 신뢰 수준에서만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학습에서 신뢰 조건이 대학생의 집단적 효능감과 성과 기대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효능감과 성과기대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협동학습 과정에서 구성원들 간에 신뢰를 형성시킬 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Although cooperation has been considered in varied ways in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many problems undermining collaboration involve worker interaction patterns and trust issues. To understand these issues empirically, this study examined one well-researched factor, group interdependence structure, and another one less-attended factor, trust. The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university students cooperation,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as a function of differential interdependence structures and trust level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interdependency: positive and negative) 2(trust: high and low) factorial design. Four simulated scenarios(work group conditions) were generated to reflect each group characteristic in terms of interdependency and trust. The research sample of 186 undergraduate students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simulation cooperative learning group conditions. Subjects described the actual group situation similar to the assigned scenario. They then responded to a measure of cooperation, collective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trust variable of cooperative learning significantly affected university students collective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is study suggest that instructors can proactively adopt the cooperative work(or team) performance system by promoting trust among students, instead of the traditional competitive grading system, and trust is a collective construct such that the development of a collective agency within a work group depends on the cognitively shared form of trus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윤기(Yoon-Ki Min),문은식(Ehun-Shik Moon),한건환(Gun-Hwan Han),박명실(Myeongsil Park). (2007).협동학습의 상호의존성 구조와 신뢰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협동과 집단적 효능감 및 성과기대의 차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9 (1), 371-383

MLA

민윤기(Yoon-Ki Min),문은식(Ehun-Shik Moon),한건환(Gun-Hwan Han),박명실(Myeongsil Park). "협동학습의 상호의존성 구조와 신뢰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협동과 집단적 효능감 및 성과기대의 차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9.1(2007): 371-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