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인로에 대한 시평의 일고찰
이용수 47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ments on Lee Inro’s Poetry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이미순(Lee, MiSun)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9집, 85~11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려 중기를 대표하는 문인 이인로는 당시(當時)의 수사를 중시하는 문예사조에 따라 용사 및 형식론의 중요성을 주창한 인물로 당시 성행하던 송시(宋詩)의 영향을 받은 그의 시문학은 송풍(宋風)을 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이인로의 작품은 ‘청신부려(淸新富麗)’라는 당풍(唐風)적 성격의 평가를 받는다.
고려시대 시문학 비평연구에 있어서 이인로에 관한 연구는 종래의 이인로의 ‘용사(用事)’와 이규보의 ‘신의(新意)’에 주목하여 상호 대비하는 경향에서 벗어나 서로 상보적인 관계로 보는 등의 새로운 관점으로 파악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인로에 대한 조선시대의 상충된 평가가 시평 기준별 시대 변화와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려 중기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대표적인 문학비평가의 시관을 검토하였다. 다시 말하여 이인로에 대한 시대에 따른 시평 기준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당시(唐詩)를 존숭하는 조선시대 비평가 서거정, 허균, 홍만종의 3인은 ‘청신부려’, ‘청(淸)’, ‘청려(淸麗)’, ‘청완(淸婉)’ 등의 당풍(唐風)적 문학성을 칭송하는 어구로 이인로의 시문학을 평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자 문화권의 신(神)ㆍ묘(妙)ㆍ능(能)의 삼품에 따른 전통적인 품등법에 비추어 볼 때 이인로를 최고의 경지인 신품으로 이규보는 묘품의 경지로 파악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인로에 대한 조선시대의 상충된 평가는 이인로의 시풍이 당풍(唐風)을 따르고 있음을 지적한 것이 아니라 그의 작품에 나타난 기질이 당시(唐詩)와 같다는, 즉 그의 문학성을 극찬하기 위함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영문 초록
Lee Inro, a literary man representative of the midKoryo Dynasty, was an advocate of the importance of yongsa(用事) and formalism according to the trend of its literature valuing rhetoric. His poetry, having influenced by Song Dynasty’s poetry prevalent in literature in those days, took on its poetic style. In Joseon Dynasty, however, his literature was evaluated as a type of Tang Dynasty’s poetry characteristic of cheongsinburyeo(淸新富麗, Novelty and Splendor).
The studies on Lee Inro’s poems in the critical study of poetry during the Koryo Dynasty began to be understood from new perspectives, such as taking note of Lee Inro’s yongsa and Lee Gyubo’s sinui(新意) and viewing them as complementary to each other. However, this essay considered the views of representative literary critics from the midKory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fact that conflicting views on Lee Inro during the Joseon Dynasty may be related to changes according to the era of standards for poetry review. In other words, it investigates which standards were applied to commenting on his poetry depending on each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Joseon Dynasty’s critics, Seo Geojeong, Heo Gyun, and Hong Manjong, were evaluating Lee Inro’s poetry with words praising Tang Dynasty’s literary qualities such as cheongsinburyeo, cheong(淸), cheongryeo(淸麗) and cheongwan(淸婉). Besides, in the light of traditional rating method in cultures of Chinese character, which consists of three criteria, shin(神), myo(妙), neung(能), Lee Inro was rated as the greatest state, shin, and Lee Gyubo as myo.
Therefore, the contradictory evaluations of Lee Inro in the Joseon Dynasty could be inferred that his poetry did not point out that his style of poetry followed the Tang Dynasty’s, but that the temperament shown in his works came from the same as those of the Tang Dynasty. In other words, it was to extol literature of Lee Inro.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시론의 원류 - 중국시론에 있어서 기(氣)
3. 고려 문인들의 시관
4. 조선 문인들의 시관 - 이인로를 중심으로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 「수라도」에 나타난 가야의 정신적 유산 찾기
- 중국 미인 소재 시가의 존재 양상과 문학적 함의
- 이기영의 『고향』 재독(再讀)
- 이인로에 대한 시평의 일고찰
- 신경림의 시집 『농무』의 리미널리티 연구
- 대학생 별명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의 유형과 특징
- 『全韻玉篇』에 나타난 正・俗音의 성격 고찰 下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 분석
- ‘확장된 마음’과 인간-기술의 올바른 연합
- 중첩되는 전쟁과 망각되는 일본군 ‘위안부’ 서사
- ‘기다’의 문법 범주
- 은유와 환유를 바탕으로 한 연어 구성 합성명사 연구
- 대눌(大訥) 노상익(盧相益)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특징과 만주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