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눌(大訥) 노상익(盧相益)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특징과 만주인식
이용수 134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nd the Perception of Manchuria in Daenool Sang-Ik Noh’s Dogangrok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전설련(Quan, xuelian)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9집, 117~1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대눌 노상익의 『도강록』 소재 잡저를 중심으로 그 서술특징과 만주인식을 살펴 그것의 의의를 밝혔다. 대눌의 『도강록』은 그가 만주에서 보고, 듣고, 겪은 것들을 엮은 것이다. 여기에는 총 10여 편의 잡저가 수록되어 있으며, 만주의 풍속이나, 그가 체험한 장소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대눌은 주로 ‘풍속에 대한 비판적 기술’, ‘체험한 공간의 역사와 전설의 혼합’이라는 서술방식으로 작픔을 구성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그가 만주를 ‘무질서의 공간’, ‘한반도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강록』 소재 잡저에서 저자가 국경 문제, 즉 영토 문제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있는 점은 오늘날까지도 이에 대한 근거 자료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대눌은 지역에서 전해지는 전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문학적 성격을 강화하기도 하였다. 대눌의 이러한 저술은 당대의 만주 문화를 파악하는 등 정보 전달을 한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고, 또 오늘날 지명 연구 및 한중 문화의 교류에도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 of Manchuria in Daenool Sang-Ik Noh’s Dogangrok and sheds light on its value. Dogangrok is a compilation of writings wherein Daenool shares his experiences of Manchuria and which comprises ten pieces detailing Manchurian customs and places he visited. These writings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narratives, namely ‘the critical description of Manchurian customs’ and ‘the blend of legends and history regarding the places experienced’, which reveal that Daenool perceived Manchuria as a ‘place of chaos’ and a ‘Korean territory’. Th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border issue, that is, of the territorial issue in the Dogangrok writings still has great value today as evidential materials. Furthermore, Daenool had soaked himself in local legends, which reinforced the literary character of Dogangrok. As Daenool s writings capture the contemporary Manchurian culture and provides insights on Manchuria’s situation at the time, they constitute an invaluable resource material for research into place names and Sino-Korean cultural exchanges.
목차
1. 서론
2. 『도강록』 소재 잡저의 서술특징
3. 『도강록』 소재 잡저에 나타난 만주 인식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 「수라도」에 나타난 가야의 정신적 유산 찾기
- 중국 미인 소재 시가의 존재 양상과 문학적 함의
- 이기영의 『고향』 재독(再讀)
- 이인로에 대한 시평의 일고찰
- 신경림의 시집 『농무』의 리미널리티 연구
- 대학생 별명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의 유형과 특징
- 『全韻玉篇』에 나타난 正・俗音의 성격 고찰 下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 분석
- ‘확장된 마음’과 인간-기술의 올바른 연합
- 중첩되는 전쟁과 망각되는 일본군 ‘위안부’ 서사
- ‘기다’의 문법 범주
- 은유와 환유를 바탕으로 한 연어 구성 합성명사 연구
- 대눌(大訥) 노상익(盧相益)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특징과 만주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