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 분석
이용수 416
- 영문명
- Research Discours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ext Mining - With a focus on discourse analysis of academic journals by period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백재파(Baek, Jae-Pa)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9집, 339~37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 2종을 선정하고 지난 20년간 이들 학술지에 게재된 1,691편의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10년 단위로 연구 담론의 변화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어 교육의 대상 학습자가 확대되었고 둘째,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게 되었으며 셋째, 연구 주제는 세분화, 초점화되고 넷째, 교육 현장에 기반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학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discours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study selected two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llected titles and abstracts from 1,691 papers published in these journals in the past 20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changes in research discourse every ten years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research results show, first, that learners who are the subj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expanded; second, the affective factors of the learners have come to be considered with more importance; third, research topics have become specialized and focused; and fourth, studies based on the scene of education are increasing. On this basis,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research direc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및 논의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 「수라도」에 나타난 가야의 정신적 유산 찾기
- 중국 미인 소재 시가의 존재 양상과 문학적 함의
- 이기영의 『고향』 재독(再讀)
- 이인로에 대한 시평의 일고찰
- 신경림의 시집 『농무』의 리미널리티 연구
- 대학생 별명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의 유형과 특징
- 『全韻玉篇』에 나타난 正・俗音의 성격 고찰 下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 분석
- ‘확장된 마음’과 인간-기술의 올바른 연합
- 중첩되는 전쟁과 망각되는 일본군 ‘위안부’ 서사
- ‘기다’의 문법 범주
- 은유와 환유를 바탕으로 한 연어 구성 합성명사 연구
- 대눌(大訥) 노상익(盧相益)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특징과 만주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