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全韻玉篇』에 나타난 正・俗音의 성격 고찰 下

이용수 334

영문명
An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ct pronunciation and commonly pronounced sounds which appear in the Sino-Korean dictionary “Jeon-un okpyun” Ⅱ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김민경(Kim, Min-Gyeong) 김서영(Kim, Seo-Yeong) 문성호(Moon, Sung-Ho) 김은희(Kim, Eun-Hee)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9집, 275~320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연구 목적은 『全韻玉篇』의 第16韻類부터 第26韻類에 속한 한자들에 대해 음성·음운학적인 고찰을 하는 데에 있다. 또 하나의 연구 목적은 『東國正韻』에 訓民正音으로 注音된 漢字音과 漢語의 中古音과의 比較를 진행하여 漢字音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데 있다. 『東國正韻』의 第16韻類와 第17韻類에서 사용된 한자음의 中聲은 ‘ㅗ, ㅛ, ㅜ, ㅠ’로 終聲에 일률적으로 脣輕音 ‘ㅱ’이 사용되고 있다. 『東國正韻』의 中聲 ‘ㅗ, ㅛ, ㅜ, ㅠ’와 관련해서는 漢語 中古音 개합과의 상관관계를 일부 찾아볼 수 있지만, 終聲에 사용된 脣輕音 ‘ㅱ’과 관련하여 한어 중고음의 效攝과 流攝의 운미 /-u(w)/를 뜻하는 것 이외의 다른 상관관계를 찾아보기 힘들다. 『全韻玉篇』의 中聲이 『東國正韻』의 中聲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全韻玉篇』에서 脣輕音 ‘ㅱ’이 일률적으로 탈락된 것을 보아 『東國正韻』에 사용된 脣輕音 ‘ㅱ’은 한어 중고음의 效攝과 流攝의 운미 /-u(w)/만을 알려주기 위해 사용된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근체시의 압운을 위해서는 效攝과 流攝의 한어 중고음의 운미를 알아야한다. 脣輕音 ‘ㅱ’이 終聲에만 사용되어 初聲・中聲이 나타내는 한국 한자음과 분리되어 쓰이는 것으로 보아, 『東國正韻』에서 한국 한자음을 기록할 뿐만 아니라 한어 중고음의 운미를 알려주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東國正韻』의 第18韻類부터 第26韻類까지는 喉音 ‘ㅇ’이 일률적으로 終聲에 사용되고 있는데, 『全韻玉篇』에서는 ‘ㅇ’이 탈락되었다. 『訓民正音』「解例本」終聲解에서는 “終聲 ‘ㅇ’이 ‘虛’하다고 하고 있고, 마땅히 ‘欲’자가 있어야 할 자리라도 中聲만으로도 음절을 이룰 수 있다고 했다.”라고 하였는데, 『東國正韻』에서 ‘ㅇ’을 일률적으로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an auditory and phonetic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about 620 correct sounds and popular reading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been recorded in the 『Jeon-un okpyun (全韻玉篇)』 ranging from group 16 to 26 types of rhyme sounds. At the same time, a comparative study was executed between the keynotes of the Chinese characters of the‘hunminjeongeum (Korean script)’and the zhongguyin (中古音-middle old sounds) of the Chinese language found in 『Donggukjeongun (東國正韻)』. The special 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Donggukjeongun (東國正韻)』 which used the keynotes from hunminjeongeum from group 16 to 26 were also studied simultaneously and it was found that the usage of the sungyeongeum (bilabial fricative/)脣輕音) and the vowel quality of the‘ㅇ’were especially noteworthy.

목차

1. 머리말
2. 第16韻類부터 第26韻類까지의 正·俗音의 특징
3. 마무리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경(Kim, Min-Gyeong),김서영(Kim, Seo-Yeong),문성호(Moon, Sung-Ho),김은희(Kim, Eun-Hee). (2020).『全韻玉篇』에 나타난 正・俗音의 성격 고찰 下. 동남어문논집, 49 , 275-320

MLA

김민경(Kim, Min-Gyeong),김서영(Kim, Seo-Yeong),문성호(Moon, Sung-Ho),김은희(Kim, Eun-Hee). "『全韻玉篇』에 나타난 正・俗音의 성격 고찰 下." 동남어문논집, 49.(2020): 275-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