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기영의 『고향』 재독(再讀)
이용수 431
- 영문명
- Rereading Lee Ki-young’s Hometown: Difference in writer’s consciousness and critical discourse over the fictionalization of practical intellectual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이형진(Lee, Hyeong-Jin)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9집, 215~25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전범으로 평가된 이기영의 『고향』을 실천적 지식인이라는 관점에서 재독하였다. 『고향』이 연재될 당시, 카프 문단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수용 문제에 대하여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임화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수용에 찬성하면서 『고향』을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실현된 작품으로 정립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많은 연구가 임화의 문학사적 해석에 기초하여 『고향』을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전형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정작 『고향』의 창작자인 이기영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창작 기술과 당파성의 문제로 이해하였으며, 예술을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병립하는 독자적인 영역으로 개념화하였다. 이 글은 이기영의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실천적 지식인의 창출이라는 관점에서 전작인 「서화」와 『고향』 간의 연속성을 규명하였다. 이기영의 작품들은 초라한 모습으로 고향에 귀환한 지식인이라는 클리셰를 반복하였다. 하여 그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비루한 지식인의 모습을 넘어서는 실천적 지식인의 모습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고향』의 전작인 「서화」는 이전보다 더 적극적이고 변혁적인 태도를 지닌 지식인의 개입을 통해 식민화된 농촌사회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날 것임을 예비한다면, 『고향』은 이러한 지식인이 농촌사회를 개조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했는가를 적극적으로 제시한다. 숱한 평가들과는 달리, 실제로 『고향』은 매우 긴 장편임에도 불구하고, 연애와 소작쟁의라는 두 개의 틀 속에서 진행된다. 특히 연애는 지식인의 성장을 위한 장치로 활용되며, 지식인 이외의 주체들이 주변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점을 세밀히 살피다보면, 이 작품은 자신의 실존을 짓누르는 부정적 정념을 혁명에의 열정으로 전화하고자 하는 작가의 정치적 무의식이 강하게 작동함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고향』의 분석을 통하여 이기영의 정치적 무의식과 카프의 이념성 간의 낙차를 살폈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이념에 환원되지 않는 작가의 특이점을 새로운 해석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reads Lee Ki-Young s “hometown”, which was evaluated as a model of socialist realism, in terms of practical intellectuals. When Hometown was serialized, the KAPF fiercely argued over the issue of socialist realism. Im Hwa, in favor of accepting socialist realism, tried to establish hometown as a work that realized socialist realism. Therefore, many studies started from the premise that “hometown” is typical of socialist realism based on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Im Hwa. However, Lee Ki-Young, the creator of Hometown , understood socialism realism as a problem of creative technology and partisanity, and conceptualized art as an independent domain parallel to socialist realism. Starting from Lee Ki-Young s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paper clarified the continuity between his previous work, “Soehwa” and “Hometown”, in terms of the creation of practical intellectuals. Lee Ki-Young s works were shabby and repeated the cliché of intellectuals returning home. For him,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o present the figure of a pragmatic intellectual beyond that of a abject intellectual. Seohwa prepares for new changes in colonized rural society through the intervention of intellectuals who are more active and transformative than ever before. Hometown actively suggests what these intellectuals have done to transform rural societies. Unlike many evaluations, despite the fact that hometown is a very long feature, it proceeds in two themes: love and tenancy. In particular, love is used as a device for the growth of intellectuals, resulting in the marginalization of subjects other than intellectuals. Looking closely at this point, this work finds that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the artist who tries to call the negative passions that crush his existence with the passion for revolution is strong. This paper not only examines the gap between Lee Ki-Young s political unconsciousness and KAPF s ideology through the analysis of hometown , but also suggests that the singularity of the artist, which is not reduced to this political ideology, should be presented as a standard of new interpretation.
목차
1. 반영과 호소의 사이, 『고향』의 재독
2. 농촌-고향의 기원
3. 『고향』: 혁명적 지식인 만들기
4. 『고향』의 다른 위상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 「수라도」에 나타난 가야의 정신적 유산 찾기
- 중국 미인 소재 시가의 존재 양상과 문학적 함의
- 이기영의 『고향』 재독(再讀)
- 이인로에 대한 시평의 일고찰
- 신경림의 시집 『농무』의 리미널리티 연구
- 대학생 별명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의 유형과 특징
- 『全韻玉篇』에 나타난 正・俗音의 성격 고찰 下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 분석
- ‘확장된 마음’과 인간-기술의 올바른 연합
- 중첩되는 전쟁과 망각되는 일본군 ‘위안부’ 서사
- ‘기다’의 문법 범주
- 은유와 환유를 바탕으로 한 연어 구성 합성명사 연구
- 대눌(大訥) 노상익(盧相益)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특징과 만주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