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경림의 시집 『농무』의 리미널리티 연구
이용수 153
- 영문명
- Study on the liminality in Shin, Kyung Lim s Poetry Farm Dance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이강하(Lee, Kang-Ha)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9집, 169~1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신경림의 시집 『농무』에 나타난 리미널리티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농무』는 도시와 농촌의 문화가 혼종된 지역을 토포스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 혼종의 주체들이 겪고 있는 공간에서의 문제와 그 대응 방법을 『농무』는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그러한 환경에 대한 특정한 계층(하층민)의 적응 양식을 리미널리티(전이성, 전이영역)의 관점으로 분석하려고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첫째, 기존의 신경림 문학 연구에서 드러난 난점과 한계를 살펴보고 둘째, 혼종 지역의 생성과 발달 역사를 전개하여 『농무』의 토포스에 반영하고, 셋째 『농무』의 각 작품에 나타난 리미널 현상을 연구하고 넷째, 글쓰기에서 리미널리티가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되고 독자에게 수용되는가를 규명한다. 리미널리는 개인이나 집단이 변화의 위기에 직면했을 때 그 해소 방법으로 궁구되는 제의나 축제나 놀이 등을 의미한다. 이 리미널리티를 통해서 개체나 집단은 위기 이전의 안정된 삶을 위기 이후에도 지속할 수 있는 초월적인 인식을 부여받는다. 『농무』는 사전적으로는 ‘농민이 추는 춤’을 의미한다. 이 연구가 기존의 연구에서 놓치고 있는 이 ‘춤’의 사회학과 문학의 접점 지점에 다가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iminality in the collection of Sin Gyeong-rim’s Poetry Farmers’ Dance. Farmers’ Dance is concerned with an area where urban and rural cultures are mixed as the subject of topos. Farmers’ Dance shows the problems the subjects of the hybridity experience in the space and the methods for coping with the problems.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style of adaptation by a specific class (lower class people) to th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liminality (transferability, transition a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would first investigate the challenges and limitations revealed in the existing studies of Sin Gyeong-rim’s literature; second, develop the history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hybrid area to reflect that in the topos of Farmers’ Dance; third, examine the liminal phenomenon in each work of Farmers’ Dance; and fourth, reveal how liminality is expressed in writing and accepted by readers. Liminality means a ritual, festival, or play investigated as a method for resolution when an individual or group comes across a crisis of change. Through this liminality, the individual or group is given transcendental awareness by which the stable life before the crisis can be continued even after that. Farmers’ Dance refers to “the dance danced by farmers” by a dictionary definition. Hopefully, this study would approach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sociology and literature of this “dance,” which is missed by the preceding studies.
목차
1. 서론
2. 한국 사회에서 혼종지역의 생성과 『농무』의 토포스
3. 혼종지역 하층민들의 주체성과 리미널 현상
4. 결론을 대신하며: 부재하는 타자를 향한 글쓰기, 세 번째 리미널리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설 「수라도」에 나타난 가야의 정신적 유산 찾기
- 중국 미인 소재 시가의 존재 양상과 문학적 함의
- 이기영의 『고향』 재독(再讀)
- 이인로에 대한 시평의 일고찰
- 신경림의 시집 『농무』의 리미널리티 연구
- 대학생 별명에 나타난 은유와 환유의 유형과 특징
- 『全韻玉篇』에 나타난 正・俗音의 성격 고찰 下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 분석
- ‘확장된 마음’과 인간-기술의 올바른 연합
- 중첩되는 전쟁과 망각되는 일본군 ‘위안부’ 서사
- ‘기다’의 문법 범주
- 은유와 환유를 바탕으로 한 연어 구성 합성명사 연구
- 대눌(大訥) 노상익(盧相益)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특징과 만주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