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젠더 탈주의 계보학

이용수 108

영문명
Becoming the sage who purifies and regenerates beyond the binary opposite of motherhood and femininity in Oh Jung-hee’s “Old Well”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주지영(Joo Ji-Young)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4집, 399~442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옛우물」의 서사가 직조되는 방식이 화자의 내면 의식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서사를 초점화대상의 이동에 따른 인물 관계로 나누고,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의도와 전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유목주의와 욕망론에 관한 논의에 주목하였다. 「옛우물」에서 화자 ‘나’는 남편, 그, 바보, 정옥으로 초점화대상을 이동시키면서 각 인물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거나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본다. ‘나’는 현재의 시공간에서 ‘나-남편’의 관계 속에 놓여 있는데, 여기에 과거의 ‘나-그’의 관계가 대비적으로 회상되면서 서로 다른 욕망의 자리가 각각 ‘집/작은집’, ‘안주/일탈’, ‘모성/여성’, ‘관습과 질서/제도 바깥’이라는 대립항으로 의미화된다. 그렇지만 안주와 일탈과 같은 대립적 의미항에 의해 규정되는 ‘나’는 인간이성중심주의와 가부장적 질서에 의해 영토화된 영역 안에서 반복적으로 양식화된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나’가 ‘바보’와 ‘정옥’과 같은 ‘소수자’를 초점화대상으로 삼으면서 ‘나’의 사고는 영토화된 영역의 외부에 대한 사유로 전도된다. 바보나 정옥은 ‘나’가 스스로를 가부장제 질서에 길들여진 ‘모성’과 분자적 욕망을 지닌 ‘여성’이라는 분리된 몸에 가두었음을 깨닫게 해주는 매개적 인물이다. ‘나’는 바보나 정옥을 통해, 남편의 질서에 길들여진 인식에서 벗어나 영토화된 영역 바깥의 ‘소수자’로서의 자신의 처지를 자각하게 되는 인식의 전회를 꾀한다. 현자의 시선으로 명명되는 이러한 인식의 전회는 정화와 재생 능력의 회복을 의미하는 ‘옛우물’ 꿈을 통해 암시된다. 곧 가부장제 질서에 길들여진 ‘모성’의 몸에 가둔 욕망의 경계를 해체하고, ‘여성’의 몸과 욕망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긍정함으로써 여성의 몸 더 나아가 인간의 몸과 욕망의 한계를 탈구축하고 신화적 상상력으로 재영토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는 ‘옛우물 이야기’의 전반부를 서사의 마지막 부분에, 후반부를 서사의 중간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재영토화가 여성의 정체성 탐구의 종착지가 아니라 과정임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uthor’s intentions and strategies that the narratives of “Old well” are wove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peaker’s inner consciousness. To this end, the narratives were divided according to whom narrator observes. As a result, this text shows the following process; the subject seeks to flight from the territory of the patriarchal order and toward de-territorialization. In doing so, the subject relapses the history of the oppressed women with counter-memory and rewrites it as re-territorialization. The narrator “I” looks back on her situation or looks inside herself in her relationship with each character, moving the focused on her husband, him, ‘fool’ and Jung-ok. “I”’s husband and “he” were drawn contrastively; home/small house, complacency/deviation, mother/woman, system/outside customs and order, legal/unlawful. This contrast shows that ‘I’s body and desire are repeatedly stylized within the territory with phallogocentrism and patriarchal ideologies and are shown by its effect. But as “I” takes “minority” such as “fool” and “jeong-ok” as the focus, “I”’s thinking is directed to reason for the outside of the territory. Fool or Jung-ok is a medial figure that makes me realize that I have locked myself in a separate body called “motherhood” and “femininity.” “I” seek to discover two different attitudes of life in which they respond to each other’s own world through them, thereby becoming aware of her situation as a “minor” outside the order. This inverted conception is named ‘becoming-the sage’ which is implied by the dream of an ‘old well’, which means the restoration of purifying and regenerating ability. It is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desires placed on the motherhood, affirming the various spectra of women’s bodies and desires, and then to re-territorialization the human bodies and desires with mythical imagination. This is reinforced by the following strategic descriptions; like this “I know, but.” The author emphasizes that this re-territorialization is not the end of the quest for women’s identity, but the process, that is placed by the first sentence of ‘old well story’ at the end of the text “Old well.”

목차

1. 머리말
2. 습관과 관행에 의해 젠더화되는 육체
3. 소수자로서의 시선과 ‘반기억’에 의한 젠더 서사 덧쓰기
4. ‘현자-되기’와 시간의 중층화에 따른 재영토화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지영(Joo Ji-Young). (2020).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젠더 탈주의 계보학. 구보학보, 24 , 399-442

MLA

주지영(Joo Ji-Young).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젠더 탈주의 계보학." 구보학보, 24.(2020): 399-4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