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구시 공공디자인의 시민효능감과 만족도 분석

이용수 96

영문명
An Analysis on Civil Efficacy and Satisfaction about Public Designs in Daegu
발행기관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저자명
안성조(Ahn, Sung Jo) 최영은(Choi, Young Eun) 박소정(Park, So Jung) 김영희(Kim, Young Hee)
간행물 정보
『사회융합연구』제4권 제2호, 153~16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공공디자인의 시민효능감과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이론 고찰을 통해 광역지방자치단체 공공디자인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분석모형을 설정하고 공공디자인의 시민효능감과 만족도, 시민만족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공공디자인을 이용하는 대구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빈도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디자인의 시민효능감에서 공공공간은 공원이 가장 높았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칠곡, 팔공은 높은 반면 달성과 시가지는 낮았다. 둘째, 공공건축물은 공공청사가 가장 높았다. 권역별로는 칠곡, 팔공은 높았고 반면에 달성과 시가지는 낮았다. 셋째, 공공시각매체는 교통관련 시각매체가 높았다. 권역별로는 수성, 팔공이 높고 달성이 낮았다. 넷째, 공공시설물은 도로시설물이 높았다. 권역별로는 수성이 높았다. 다섯째, 옥외광고물은 건물부착형 옥외광고물이 높았고 권역은 월배와 수성이 높았다. 여섯째, 공공디자인의 시민만족도 영향요인은 공공공간, 공공시설물, 공공건축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civil efficacy and satisfaction about public designs with the cases in Daegu City. For this, the meanings of public designs of regional local government were reviewed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about them. And then, the analysis model was set based on them, and civil efficacy and satisfaction on public designs and factors of civil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s on Daegu citizens who use the public designs there, and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multo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civil efficacy about public designs, public spaces were highest in park. By area, Chilgok and Palgong were higher while Dalseong and the downtown Daegu were lower. Second, for public buildings, public government buildings showed the highest values. By area, Chilgok and Palgong were higher while Dalseong and the downtown Daegu were lower. Third, for public visual media, traffic-related visual media were higher. By area, Suseong and Palgong were higher while Dalseong was lower. Fourth, for public facilities, road facilities were higher. By area, Suseong showed the highest. Fifth, for outdoor advertisements, those attached on buildings were higher, and Wolbae and Suseong were higher by region. Sixth, for the factors of the civil satisfaction about public designs, public spaces were highest and then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buildings followed in order.

목차

1. 서론
2.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3. 분석모형 및 자료수집
4. 분석 및 결과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성조(Ahn, Sung Jo),최영은(Choi, Young Eun),박소정(Park, So Jung),김영희(Kim, Young Hee). (2020).대구시 공공디자인의 시민효능감과 만족도 분석. 사회융합연구, 4 (2), 153-167

MLA

안성조(Ahn, Sung Jo),최영은(Choi, Young Eun),박소정(Park, So Jung),김영희(Kim, Young Hee). "대구시 공공디자인의 시민효능감과 만족도 분석." 사회융합연구, 4.2(2020): 153-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