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

이용수 57

영문명
The Nakdonggang River shore in Kansong Jo-imdo s literacture and the meaning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소연(Kim, So-Yeo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4집, 107~14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임도의 문학에서 낙동강 연안이 어떠한 공간으로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사후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도출했다. 강이 차안과 피안을 가르면서도 둘을 시공간적으로 소통시키듯, 낙동강 연안은 조임도에게 인맥적·시간적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되었다. 인맥적 소통은 조임도가 사우들과 교유하면서 이루어졌는데, 그 속에서 그는 동류지락을 느꼈다. 시간적 소통은 역사 및 고인에 대한 회고를 통해 이루어졌다. 조임도는 역사와 고인을 떠올리며 과거와 소통할 수 있었고, 인간사의 허무함을 느꼈다. 낙동강 연안을 통해 조임도는 여러 가지 문학적 상상력을 펼칠 수 있었다. 조임도가 낙동강 공간을 이와 같이 형상화한 것은 시공간을 뛰어넘어, 후대의 문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후대의 문인들은 낙동강 연안의 합강정사를 중심으로 조임도의 행적을 집단적으로 기억하고 전승했다. 그리고 낙동강을 통해, 이들에게 조임도는 여러 학파를 융통한 인물로 기억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조임도와 후대의 문인들 사이에는 시대를 뛰어넘은 시간적 소통이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to image Nakdonggang River shore in Kansong Jo-imdo(1585~1664) s literature, and deduced the cultural means of it after his death. Jo-imdo s life was in close connection with Nakdonggang River shore. River divide the space to this and that, as well as make them communicate spatiotemporally. Like this case, Nakdonggang River shore became the space of communication to him, in personal connections and time Communication in personal connections was made by Jo-imdo’s friendship with his academic friends, and he can feel consciousness of kind. This was associated with Gyeongyangdae and Hopgangjeongsa. Communication in time was made by the retrospect of history and the departed saint in Nakdonggang River shore. They were associated with ruins and the departed saint’s architecture. These made him communicate with past, and feel the futility of human affairs. His imagine about Nakdonggang River shore impacted on future classical scholars after his death. They collectively memorialized and transmitted Jo-imdo s Hopgangjeongsa. Through Nakdonggang River and its shore, they also understood that Jo-imdo put together many school, such as Taegae(退溪), Nammyeong(南冥), Hangang(寒岡), and Yeoheon(旅軒). It made them communicate with departed Jo-imdo without the limit of period.

목차

1. 서론
2. 낙동강에 대한 조임도의 인식
3. 조임도의 문학에 형상화된 낙동강 연안 공간
4. 조임도에 대한 후대의 기억 전승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연(Kim, So-Yeon). (2020).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 한국문학논총, 84 , 107-140

MLA

김소연(Kim, So-Yeon). "간송 조임도의 문학에 나타난 낙동강 연안과 그 의미." 한국문학논총, 84.(2020): 107-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