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년대 정신사와 신생(新生)의 토포스(topos)

이용수 184

영문명
Intellectual History of the 1960s and Newly Emerging Topos - Changes in Poem Written by Shin Dong-yeop before and after April 19 Revolution and Protests against Korea-Japan Summit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고봉준(Ko, Bong-Ju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4집, 449~48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문학사에서 1960년대의 위상은 각별하다. 1960년대는 4·19 혁명이 초래한 ‘자유’와 ‘민족’에 대한 대중의 갈망과, 5·16 군사정변을 주도한 세력의 기술주의, 이 두 개의 근대화 모델이 격렬하게 충돌한 시기였다. 사회변동의 현실은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문학은 이념적 금기를 넘어 남북통일과 이상적 세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 것이 1960년대였다. 이런 이유로 김수영과 신동엽은 1960년대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 논문은 1960년대 신동엽 시의 특징적인 면모를 4·19혁명과 한일회담 반대운동으로 대표되는 사회변화와 연계하여 논의한다. 1960년 이전까지 신동엽의 시는 부정적 현실인식을 관념적 차원에서 형상화하거나 현실극복의 의지를 신념의 차원에서 진술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이때의 부정적 현실인식이란 ‘전쟁’ 경험에서 획득한 것이다. 반면 1959년 등단 무렵에 이르면 신동엽의 시는 역사의식을 획득한 모습을 띠기 시작한다. 이 무렵 신동엽은 자신이 생각한 이상적 세계를 ‘정전지구(停戰地區)’라고 표현했는데, 4·19 혁명 이후에는 그것을 ‘완충지대’라고 바꾸어 표기했다. 그리고 1964년 「껍데기는 가라」를 처음 발표할 때에는 그 이상적 세계를 ‘중립’이라고 표현했다가 1968년에 쓴 「술을 많이 마시고 잔 어젯밤은」에서는 함축적 의미가 동일한 이상적 세계를 ‘완충지대, 중립지대, 평화지대’의 세 가지로 동시에 표기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면 4·19 혁명 이후 ‘정전지구’가 ‘완충지대’로 바뀌었고, 한일회담 반대운동 이후 ‘완충지대’가 ‘완충지대, 중립지대, 평화지대’로 다양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듯하다. 신동엽이 ‘중립’을 노래할 시기에 최인훈 또한 소설 연재를 통해 중립의 꿈에 대해 진술한 것을 보면, 신동엽이 시기에 따라 이상적 세계의 명칭을 바꾼 것은 문학에 대한 현실의 영향 탓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1960s occupies a special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two models of modernization-people’s yearning for ‘freedom’ and ‘nationality’ triggered by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echnism purported by those who led the May 16 military coup-crashed hard. Throughout the 1960s, the reality of social changes stimulated literary imagination, and literature surmounted ideological taboo and provided a vision on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nd an ideal world. Kim Suyoung and Shin Dongyeop have been seen as poets that represented literature of the 1960s. This study discusses characteristics of Shin Dongyeop’s poem from the 1960s in relation to social changes as represented by the April 19 revolution and protests against the Korea-Japan summit. Before 1960, his poem embodied the poet’s negative perception of the reality at an ideological level or stated his conviction and resolution to overcome the reality.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reality was born from his experience of the war. By 1959, when he was about to debut, his poem began to show historical consciousness. Around this time, the poet termed his idea of an ideal world as ‘ceasefire district’, and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he revised the term to ‘buffer zone’. When he first published ‘Go Away Shell!’ in 1964, he described the ideal world as a ‘neutral’ place, and then in 1968, called the ideal world of the same overtone in three different terms of ‘buffer zone, neutral zone, peaceful zone’ at the same time. That is, in the poet’s work, ‘ceasefire district’ changed to ‘buffer zone’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which went on to diversify into ‘buffer zone, neutral zone, peaceful zone’ following protests against the Korea-Japan summit. Around the time Shin Dongyeop wrote about a ‘neutral’ place, novelist Choi Inhun also expressed his dreams about a ‘neutral’ place in his series novel, and from this fact, it can be derived that the poet’ change of terms indicating an ideal world reflected the influence of the reality on literature.

목차

1. 들어가며
2. 1960년대와 ‘민족’ 담론: ‘중립화통일론’과 ‘한일협정 반대운동’을 중심으로
3. 전쟁 체험과 근대 문명에 대한 부정: 1960년 이전 신동엽의 시
4. 신생(新生)의 토포스(topos): 4·19 이후 신동엽 시에 나타난 이상적 세계의 이름들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봉준(Ko, Bong-Jun). (2020).1960년대 정신사와 신생(新生)의 토포스(topos). 한국문학논총, 84 , 449-481

MLA

고봉준(Ko, Bong-Jun). "1960년대 정신사와 신생(新生)의 토포스(topos)." 한국문학논총, 84.(2020): 449-4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