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한 『문학』과 북한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문학 작품의 비교 연구

이용수 129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Modern Literature Works in South Korean Literature and North Korean Korean Literature Textbooks - Focusing on Kim So-wol’s Chohon and Choi Seo-hae’s Talchulgi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최창헌(Choi, Chang-heon)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3집, 611~64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남북한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과 학습자의 문학 활동을 비교하여, 남북한 문학 교육의 지향성과 그 속에서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밝혀보려는 시도이다. 김소월의 「초혼」과 최서해의 「탈출기」는 남북한 문학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수록되었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남북한 문학교육의 분기점에 위치한 작품으로도 의미가 있다. 이 두 작품 이후의 남북한 문학교육에서는 전혀 다른 문학 작품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는다. 1920-30년대의 한국문학은 프로문학이 주도한 시기였다. 남북한 문학 교육사(史)에서, 이 시기에 대한 서술 태도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문학 교과서 속의 프로문학 서술에 할애된 분량의 표면적인 차이, 문학교육사의 전개 과정에서 프로문학이 차지하는 경중(輕重)의 차이, 그리고 북한 문학교육사에서 프로문학은 ‘항일혁명문학’의 전단계로 계승과 극복의 관점에서 북한 주체문학의 근간을 이룬다는 점이다. 이러한 남북한의 프로문학에 대한 관점의 차이로,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초혼」과 「탈출기」에는 남북한의 동질성과 이질성이 함께 존재한다. 김소월은 전통과 향토의 시인으로 평가되는데, 서정시 「초혼」에는 남북한 구성원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우리의 전통적인 정서가 스며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의 구체적 해석에서는 서로 다른 면모를 보인다. 남한에서 「초혼」의 시적화자 대상인 ‘그대’는 한용운의 ‘임’처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이 있는 열린 시어이다. 반면에 북한에서 「초혼」은 비판적 사실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시적화자의 대상인 ‘그대’는 오로지 조국만을 의미하여 ‘조국애’를 고양시키고 있다. 이러한 표면적인 조국애의 강조는 심층적으로는 주체사상과 관련되어 있다. 「초혼」을 통한 남한 문학 교육은 전통적인 정서와 리듬을 이해하는 것에 있고, 북한 문학 교육은 정치사상의 심미적 내면화와 공산주의적 혁명 인재 양성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단편소설 「탈출기」는 남북한이 신경향파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이라는 동일한 평가를 한다. 그러나 북한의 문학사는 계승과 극복의 연쇄 관점에서 「탈출기」를 민족문학 유산이라는 전통의 한 자리를 부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orientation and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of literary edu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y comparing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learners and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two texts. Kim So-wol’s Chohon and Choi Seo-hae’s Talchulgi from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textbooks are not only written in common, but also meaningful in terms of works placed at the junction of two Korea’s literary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fter these two works is based on a completely different literary work. Korean literature in the 1920s and 30s was led by proletariat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literary edu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attitude of narrative about this period is markedly different. In the literary textbooks, the surface difference of the amount devoted to the description of proletariat literature, the difference in the weight of proletariat literature in the development of literary education history, and in the history of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proletariat literature is a preliminary stage of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It is the basis of Juche literature in North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overcoming i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perspectives on proletariat literature, the homosexuality and heterogeneity of the two Koreas exist in Chohon and Talchulgi in the literature textbook. Kim So-wol is regarded as a poet of tradition and locality. In Chohon, we have our traditional emotions that both North and South Koreans can relate to. However, the concrete interpretation of the poem shows a different face. In South Korea, ‘Geudae’, the poetic narrator of Chohon, is an open poem with a variety of possible interpretations, such as ‘Yim’ by Han Yong-un. On the other hand, in North Korea, Chohon 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critical realist literature, and the poetic narrator, ‘Geudae’, only means the motherland, to elevate the ‘national love’. This superficial emphasis on national love is deeply related to the Juche idea. Literature education in South Korea through Chohon is to understand traditional emotions and rhythms.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ims at aesthetic internalization of political thought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st revolutionary talent. In addition, short story Talchulgi makes the same evaluation that the two Koreas ar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literature. However,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North Korea gives Talchulgi a place of tradition of national literature in terms of succession and overcoming.

목차

1. 서론
2. 1920-30년대의 한국문단과 프로문학
3. 남북한 문학 교과서 속의 동질성과 이질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창헌(Choi, Chang-heon). (2019).남한 『문학』과 북한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문학 작품의 비교 연구. 구보학보, 23 , 611-640

MLA

최창헌(Choi, Chang-heon). "남한 『문학』과 북한 『국어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문학 작품의 비교 연구." 구보학보, 23.(2019): 611-6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