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채만식의 「과도기」 연구

이용수 72

영문명
A Study on Chae Man-sik’s “Gwadogi”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윤수미(Yun, Su-mi)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3집, 267~29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채만식은 동경의 와세다(早稻田)대학 본과 영문과에서 공부를 하다가 가세가 기우는 집안사정으로 귀국하였다. 이후 관동대지진으로 인하여 완전히 유학생활을 정리하고 조선으로 돌아왔다. 강화에 있는 사립학교 교원으로 취직하기 전, 초기작 「과도기」를 완성한다. 따라서 「과도기」에는 채만식이 체험한 동경의 근대와 경성의 근대가 모두 들어 있다. 채만식은 과도기적 근대의 이야기를 세 명의 남성에게 투영시켜 소설을 전개한다. 박봉우, 박형식, 김정수는 각기 다른 성향과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세 명 모두가 채만식의 페르소나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세 명의 조선 청년들의 시선으로 소설을 읽어나가면서 세 명의 여성을 만나게 된다. 봉우의 본처인 조선인 아내, 형식의 애인인 ‘지전문자(池田文子, いけたふみこ)’ 마지막으로 정수의 애인인 ‘영자(永子, えいこ)’를 만나게 된다. 봉우의 안내는 고전적 여성이 괴물로 형상화 되어 남성을 미래로 안내한다. 형식을 유혹하는 문자는 제국여성이 가지고 있는 환상성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정수가 채만식과 가장 근사치의 시선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과도기를 받아들이는 식민지 지식인 청년의 강박적 시선을 볼 수 있다. 이들의 서사를 쫓아가며 논의를 진행하는 이유는 이 연구가 연구불모지인 채만식 초기 소설에 대한 지형도의 한 부분을 만들어내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채만식이 만들어낸 세 명의 남성과 세 명의 여성이 전근대로부터 근대로 한 세대를 옮겨가며 느낀 것들에 대해서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1920년대 한국문학과 채만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meets a novel with the eyes of three Korean youths in Chae, Man-sik`s “Gwadogi”. Chae Man-sik returned home when his house ruined. Later he gave up studying abroad because of the Gwandong earthquake. Then he wrote his first novel “Gwadogi”. So the novel “Gwadogi” contains the author’s experience. The artist applies his experience to three characters. Park bong-woo, Park hyung-sik and Kim jung-soo. Their story is transition itself. They are the persona of the writer. The reader of “Gwadogi”, observing the main character`s towards marriage and love, sees that their desires for modernization are symbolized by men`s attitudes towards women. They are Park bong-woo’s wife, Moon-ja(いけたふみこ) and Kim jung-soo’ lover yeong-ja(えいこ). Park bong-woo’s wife is classic woman. Moon-ja satisfies the fantasies of men. Yeong-ja’s story is unknown. The back chapter of the novel has disappeared. The reason for the discussion following these narratives is that this research is to create a part of the topographical map of Chae Man-sik s early novel, which is a wasteland. Therefore, studying how the three men and three women created by Chae Man-sik talk about what he felt from the pre-modern era to the modern generation is valuable in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and Chae Man-sik in the 1920s.

목차

1. 서론
2. 괴물 같은 전근대적 여성과 환상 속의 근대적 여성
3. 식민지 지식인들의 공상을 통한 해소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수미(Yun, Su-mi). (2019).채만식의 「과도기」 연구. 구보학보, 23 , 267-290

MLA

윤수미(Yun, Su-mi). "채만식의 「과도기」 연구." 구보학보, 23.(2019): 267-2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