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8선 월경의 (비)가시화와 서사적 정당성

이용수 45

영문명
(Non)Visualization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and Narrative Justification - Focusing on narratives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vision system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오태영(Oh, Tae-young)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3집, 135~17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38선은 아시아-태평양전쟁 전후 처리 과정에서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의 일환으로 전개된 미군의 한반도 주둔·점령을 위한 군사상의 필요에 의해 획정된 분할선이었다. 38선을 기준으로 이북과 이남에 소련군과 미군이 진주·점령하고, 군정청이 설치되어가는 가운데 남한사회에서는 38선 철폐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났다. 38선은 민족의 통일을 통한 독립국가 건설의 장벽으로서 해방은 되었지만 독립은 달성하지 못한 조선인들에게 독립을 위해 반드시 철폐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신탁통치 체제가 강고화되어가면서 38선은 남북한의 배타적 적대관계를 강화하는 이념의 분할선으로 작동하였다. 1948년 단독정부 수립, 남북한 분단 체제의 성립을 전후 한 시기에 생산된 38선 월경 서사에서 38선 월경의 행위는 민족 수난사의 맥락 속으로 포섭되어갔다. 그때 지난하고 고통스러운 38선 월경의 과정은 북에서 남으로의 방향성을 띄었고, 남한사회의 민족-됨을 예비하는 인구의 이동으로 가시화되어 서사적 정당성을 획득했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는 구식민자였던 일본인이나 불법적인 월경을 감행하는 잠상꾼들이 비록 흐릿하게나마 그 흔적을 남기고 있었다. 그들의 38선 월경은 구체적으로 서사화되어 제시되지 않은 채 비가시적인 것들로 남아 있었지만 엄연히 존재했다. 그런 점에서 38선 월경 서사는 월경하는 개인과 집단의 행위와 욕망을 민족적 층위에서 정당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발휘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e 38th parallel was a dividing line defined by the military necessity for the presence and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ost-Asia-Pacific War as part of US policy toward Asia. On the 38th parallel, Soviet and American troops were pearled and occupied north and south.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Military Administration, movements for the elimination of the 38th parallel have been active in South Korean society. The 38th parallel was a barrier to building an independent state through national unification. Therefore, the Koreans who were liberated but did not achieve independence must be abolished the 38th parallel for independence. However,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trusteeship system, the 38th parallel acted as a dividing line of ideology that strengthened the exclusive hostility of the two Koreas. Accordingly, the 38th parallel acted as a dividing line of ideology that strengthened the exclusive hostility of the two Koreas. In the narrative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act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has been captured in the context of national suffering. At that time, the last and painful process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showed a direction from north to south. And it became visible by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that prepares for the ethnicity of South Korean society, and obtained narrative justification. But among them, the Japanese, who were old-time colonists, or those who practiced illegal crossing, had vaguely left behind traces. Their crossing the 38th parallel remained vaguely, though not specifically described, but existed. In that sense, the narrative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had the effect of justifying the behavior and desires of menstruating individuals and groups at the national level.

목차

1. 38선 획정과 냉전-분단 체제
2. 38선 철폐 운동과 독립의 좌절
3. 민족 수난사에 포섭되는 38선 월경
4. 38선 월경의 (비)가시화와 이동의 (불)가능성
5. 귀환과 피난, 그 사이의 월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태영(Oh, Tae-young). (2019).38선 월경의 (비)가시화와 서사적 정당성. 구보학보, 23 , 135-170

MLA

오태영(Oh, Tae-young). "38선 월경의 (비)가시화와 서사적 정당성." 구보학보, 23.(2019): 135-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