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년대 냉전기 소년 SF괴수영화의 괴수 표상 연구

이용수 96

영문명
The Monster Representation in the Korean Boy SF Monster Film of the 1960s ruled by the Cold War System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희원(Lee, Hee-Wo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3집, 389~42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0년대 한국사회는 정치적으로 반공이데올로기, 경제적으로 천민자본주의적 발전 이데올로기가 당대를 주조하는 추동력이었다. 이러한 슬로건에 따라, 통치자들은 국가에 충성하는 국민을 긍정하고 경제 발전이 제안하는 풍요를 삶의 목표로 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는 통치자들의 장기집권과 이권 독점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 체제를 고착화하기 위한 면이 많았다. 때문에 당시 정권은 적의 위협이 상존하는 냉전 구도 유지가 중요했다. 60년대 중반부터 반공교육이 강화되고 미디어를 통한 위의 두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민선전이 확대되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 의한다. 1967년에 개봉한 소년 SF괴수영화 <우주괴인 왕마귀>와 <대괴수 용가리>는 이러한 60년대 중반 우리 사회의 표층과 이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영화 속 괴수의 침입은 관객들에게 냉전의 긴장감을 상기시켰다. 그리고 엄청난 물량과 기술을 투입해 만든 괴수나 화려한 도시를 보여주고 동시에 그것들이 파괴되는 영상은 여러 면에서 자본논리의 존재감을 드러내 보인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들에 대한 대중적 관심은 반공이데올로기가 국민들에게 주입한 전쟁과 적에 대한 강박적 공포, 그리고 자본주의적 욕망의 위태로운 현실 구현과 그것에 대한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반영한다. 따라서 이 작품들은 괴수, 그리고 괴수가 파괴하는 대상을 형상화하여 당대 체제가 강력하게 지향하던 이념의 작동방식의 실상과 그 모순점을 보여준다. 한편, 영화는 ‘소년’을 형상화 하는 모습을 통해 대민선전과 다음 세대에 대한 훈육의 기획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소년 세대란 완전히 사회화되지 않은 미성숙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사회 질서에 따라 교육·훈육을 받아야 할 대상이다. 때문에 60년대 중반과 같이 엄격하게 짜인 이념이 작동하는 상황 속에서 소년은 ‘체제 내’ 균열점이라 할 수 있다. 영화 속 소년들은 이러한 균열적 특성을 가지고서 ‘체제 밖’ 균열점인 괴수들과 조우한다. 결과적으로 작품 속 괴수들은 인간의 지식과 질서에 수렴하면서 인간에게 포획된다. 그리고 소년들은 국가 체제의 반복으로서의 모범적인 성인 남녀가 만드는 가족공동체를 받아들임으로 해서 그 균열적 면모를 봉합한다. 이로서 1960년대에 등장했던 특수촬영물 소년 SF괴수영화는 최종적으로 안정화 된 국가 형태를 승인·강화하면서 당대 이데올로기의 강박과 히스테리를 은폐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체제를 내면화하고 이를 이어나갈 다음 세대인 소년들을 길러내는 것에 성공한다.

영문 초록

In the 1960s, in the world of the Cold War system, Korea s developmental dictatorship took power for a long time. Anti-communist ideologies and capitalist development ideologies were the main trends of the time. But this slogan was not all of the real world. The rulers considered the people as a communist that they disobey the orders of the state. It also tried to justify the existing economic system by forcing the desire for the abundant life proposed by economic development. At times, anti-communist ideologies concealed the contradiction of economic ideologies and economic ideologies concealed the contradiction of anti-communist ideologies. Therefore, it became important for the regime to maintain the Cold War composition, where enemy threats exist. Therefore, anti-community education is strengthened from the mid-60s and the amount of public propaganda through the media is expanded. Korean Boy SF Monster Film and have been released in 1967. Since mid-60s the national censorship of film creation was severe. These films should be interpreted in close connection with contemporary situation. In this sense, these two movies represent “monsters” as subjects of punishment, in the name of the anti-communist ide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ground slogan. The emergence of these monsters embodies the possibility of war breaking out as a potential threat in the Cold War regime. But the monster is also a representation of the many cracks of the two ideologies of the day. The Cold War system in Korea at the time forced the people to internalize the fear of war and the neurotic compulsions to find the enemies. On the other hand, capitalistic desire is tolerated and the unsatisfactory hysterical desire for material wealth is prevalent. The scenes of Seoul s daily life being destroyed by monsters revealed the cracks of Korean society at that time. Besides the film is not only the crack created by the monsters as external enemies but also the boys in these films point existing the crack inside the society. A boy is a wholly unsocialized person with infinite potential for change. For this reason, boys are an indeterminate crack in society and are subject to education and training according to social order. The main narrative of the work is that the boys in the system crack encounter the monsters from out of the system crack. The monsters in the work lose their identities as a result of c onvergence to the human order. And the boys are countries as a way of identifying the family community created by the great socially successful men and beautiful women. It accepts and seals the cracked surface of Korean society. As a result, the monster s otherness in and is sealed by humanizing the monster and disciplining the boy. But in the process, the cracks of the otherness have their presence. because of this, the boy SF monster films fosters boys as the next generation to conceal ideological compulsions and hysteria and to continue this society by embodying the appearance of maintaining a stabilized state within the community. This is the discipline that the boy SF monster films appeared in the mid 60s.

목차

1. 1960년대 냉전체제와 소년 SF영화
2. 괴수가 되지 못한 괴수
3. 소년-괴수의 충돌과 완성되는 ‘국(國)·가(家)’ 이데올로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원(Lee, Hee-Won). (2019).1960년대 냉전기 소년 SF괴수영화의 괴수 표상 연구. 한국문학논총, 83 , 389-422

MLA

이희원(Lee, Hee-Won). "1960년대 냉전기 소년 SF괴수영화의 괴수 표상 연구." 한국문학논총, 83.(2019): 389-4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