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근형 희곡에 재현된 가족과 여성

이용수 70

영문명
Family and Women Recreated in Park Geun-hyung’s Play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윤희(Kim, Yoon-Hee)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3집, 423~4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 국가의 탄생과 함께 형성된 가족이라고 하는 제도 안에는 여성의 자유와 권리 침해의 요소들이 상존해 있다. 이와 같이 불평등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유지·존속될 수 있었던 것은 관계의 균열을 특정 누군가의 희생을 신화화한 채 암묵적으로 강요하면서 봉합해온 데 기인한 바 크다. 그러나 사회경제구조의 변화로 가계를 중심으로 행해지던 가족 경제가 개인 중심으로 이항되면서 더이상은 가족 구성원의 누군가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할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화두로 떠오른 가족의 위기가 바로 이 지점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타 장르에 비해 시대를 읽어내고, 한 사회의 물질적, 정신적 구조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특히 박근형은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외면해온 가족의 진실을 핍진하게 무대 위에 재현해온 연출가이자 극작가로 가족을 연구하는 데 있어 주목할 만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의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우리가 지금까지 견고하다 믿어온 가족이라고 하는 제도가 어떠한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구조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선행연구를 통해 가족의 서사를 다루고 있는 그의 작품 연구에서 여성, 특히 어머니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에 문제 제기하고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박근형의 희곡 속 여성 인물들은 다수의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적은 사회 자본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자신의 효용성을 인정받기 어려운 인물들이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수동적으로 주어진 운명에 순응만 하며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이들 여성들은 가부장제라고 하는 불평등한 가족 제도 속에서 제 존재를 인정받고자 제몸을 자해하면서까지 악전고투하고 있다. 그리고 자해를 하면서까지 인정받기 위해 치열하게 투쟁했던 만큼 더이상 가부장제라고 하는 가족제도에 연연하지 않는다. 가족은 사회적 필요에 의해 상징적 의미가 과도하게 부여되었을 뿐 우연에 의해 결합된 구성물로 여타의 관계와는 다른 특수한 관계는 아니다. 박근형이 초기 작품들을 통해 가부장제가 얼마나 모순적인 제도인지를 밝히는 데 주력다면 후기에 이르러서는 임신과 출산, 그리고 자녀 돌봄의 문제를 바탕으로 더이상 기존의 정상가족으로는 유지될 수 없는 가족 관계의 방향성을 재고하기 시작한다. 생물학적으로 아이에게 생을 부여했다고 해서 돌봄을 방기한 부모를 부모라 할 수 있는 것인지 조심스럽게 의문을 던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기본적으로 부모라고 하는, 어머니라고 하는 상징적 의미가 여성을 가족 안의 불평등을 인내해야 하는 것으로 내재화함으로써 야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돌봄이 어느 한 개인의 몫이 아니라 공동체가 함께 해나가야 할 일이 될 때 여성은 가족을 넘어 더 넓은 공동체와 연대하며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게 되고, 가족이라고 하는 개념 자체도 확장 가능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re are elements of both women s liberty and the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in the system of family formed with the modern nation. Despite such an unequal structure, it could be maintained and sustained due to the implicit coercion with the mythicizing of a sacrifice of someone in the relationship. However, with the change of the socio-economic structure, the family economy, which was conducted mainly by households, changed to individual-centered, so that it was no longer possible to force the unilateral sacrifice of someone in the family. This is because the crisis of the family in our society today occurred at this point. Compared to other genres, drama is easier to use to understand the times and to grasp the physical and mental structure of a society. In particular, Park Geun-hyung s works have vividly reproduced the truth of the family that our society has so far neglected on stage. He is a director and playwright. This paper examined the mechanism of the family system, which we believed as solid, centered on his plays. In particular, this focused on raising the issue that women, especially mothers, are not being discussed in earnest in the research on family narratives through prior studies. Park Geun-hyung s female characters, like women in many patriarchal societies, had socially difficult being recognized for their importnace due to low social capital. But that does not mean that they are only passively conforming to their given destiny. These women seek to be recognized for their existence in the unequal family system called patriarchy, even through hurting themselves. And as they struggled hard to be recognized while even hurting themselves, they no longer cared about the family system of patriarchy. The family has only been given excessive symbolic meaning by social needs and a combination of coincidences that is not a special relationship. Park Geun-hyung s early works focused on revealing how contradictory the patriarchal system is. However, later, he began to rethink the direction of family relationships that can no longer be maintained by a normal family based on the problem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care. He carefully questions whether parents who neglected taking care of a child can be called parents because they have given birth to a child biologically. This is because the symbolic meaning of parent, mother, has internalized in women as having to endure inequalities in their families. When caregiving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any individual but rather a community who works together, women will be able to connect with the wider community and restore their identity beyond the family.

목차

1. 들어가며
2. 가족이라고 하는 제도와 여성
3. 가족이라고 하는 제도적 한계로 행해지는 여성의 가족 내 인정 투쟁
4. 가족이라는 제도에서 벗어나 연대적 공동체로 변화하는 가족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희(Kim, Yoon-Hee). (2019).박근형 희곡에 재현된 가족과 여성. 한국문학논총, 83 , 423-449

MLA

김윤희(Kim, Yoon-Hee). "박근형 희곡에 재현된 가족과 여성." 한국문학논총, 83.(2019): 423-4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