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6세기 사대부 계층의 연회 풍속과 금가(琴歌)

이용수 94

영문명
The banquet customs and of Sadaebu(scholar -gentry class) and Geumga in the 16C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류속영(Ryu, Sok-You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3집, 45~8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연회에서 사용된 음악은 대부분 기생이라는 여성 음악인들이 연행하는 기악이었다. 이 기악은 연행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악공들의 악기 연주 속에서 기생들이 가무를 담당해서 연행하는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악공의 개입 없이 기생들이 직접 거문고와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를 연주하면서 노래하는 금가의 방식이다. 이처럼 가무와 금가는 각각 보는 기악과 듣는 기악이라는 변별성을 지니고 상호보완적인 관계 속에서 조선시대 내내 사대부 계층의 음악적 욕구를 충족시켜 왔다. 가무가 중심이 되는 기악의 경우, 화려한 의상과 춤사위로 연회 참석자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웅장하고 흥겨운 악기 연주와 노래 소리로 연회의 흥취를 고양하는 방향으로 연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금가는 거문고나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의 유려하고 섬세한 연주 선율에 맞추어 가창자가 노래로 호응함으로써 두 선율의 조화를 통한 청각적 미감을 고양하는 방향으로 연행된다는 점에서 가무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 그런데 사대부들은 금가를 기악으로 향유하는 데서 그치지 않았다. 거문고는 오래 전부터 사대부들의 애호를 받아온 악기여서 거문고 연주는 그들의 고답적 취미이자 교양이기도 했다. 그리고 이 거문고 연주에 맞추어 노래로 부른 가요로는 사대부들이 지은 시조 작품이 주로 채택되었다. 그런 점에서 금가는 기생의 음악이지만 사대부의 음악이기도 한 것이다. 기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사대부 사회에 폭넓게 자리잡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금가 형태로 기악을 향유하는 것은 쉽게 용인할 수 있었던 이유는 사대부 자신이 금가의 연행 담당층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한편 사대부 문학으로서의 시조가 조선시대 내내 왕성한 생명력을 지니고 향유층의 저변을 넓힐 수 있었던 배경에는 시조가 금가라고 하는 기악의 노랫말로 채택됨으로써 기생들에 의해 가요로서의 정체성을 충분히 확보하게 되었던 사실과도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다.

영문 초록

The music that was mainly used at the banquet of Sadaebu was the instrumental music, which was mostly played by women musician called Gisaeng. Giak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how to play. One is the type called Gamu in which Gisaeng dance and sing to the rhythm played by the other instrumental musicians. The other is the type called Geumga in which Gisaeng sing and dance, playing the geomungo and gayageum themselves without any instrumental players. Like this, Gamu and Geumga have the discrimination that the one is the instrumental music for watching and the other is one for listening. Both of them kept complete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satisfied the musical desire of Sadaebu during Joseon Dynasty. The instrumental music focused on the dancing and singing( Gamu) provides all the present with various visual treats such as splendid costumes and dazzling dance. Also the grand and upbeat sound of the music instrument and songs heighten the excitement of the event, while Gumga is the type where the singers sing, responding to the fluid and delicate tune for stringed instrument such as geomungo and gayageum. The harmony of these two tunes lifts up auditory sense of beauty. In this respect Geumga has a bit difference from Gamu. Sadaebu(scholar-gentry class) couldn t be satisied with enjoying only listening Geumga as the instrumental music. They had been fond of geomungo and considered playing it as their high-toned hobby and a symbol of culture. Further more, they mainly sang Sijo written by themselves, playing the geomungo. At this point, Geumga was the music of Gisaeng and it was that of Sadaebu. Despite they had more negative cognition toward instrumental music(Giak), they easily permitted enjoying instrumental music(Giak) as a kind of Geumga. This is because Sadaebu themxelves were also main players of Geumga. Sijo as Sadaebu s literature had strong survival power and could expand the fan base of it. It has been partly involved with the fact that Sijo was adopted as the song words of the instrumental music(Giak) called Geumga and could have the identity of song by Gisaeng

목차

1. 서론
2. 연회도를 통해 본 기악과 금가
3. 사대부 계층의 금가 향유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속영(Ryu, Sok-Young). (2019).16세기 사대부 계층의 연회 풍속과 금가(琴歌). 한국문학논총, 83 , 45-85

MLA

류속영(Ryu, Sok-Young). "16세기 사대부 계층의 연회 풍속과 금가(琴歌)." 한국문학논총, 83.(2019): 45-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