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이용수 322
- 영문명
- Role and Tasks of Primary Local Welfare Foundation: Focusing on a case of Gimpo Community Foundation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송혁(Song, Hyuk) 원일(Won, il) 오단이(Oh, Danny)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215~2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김포복지재단의 사례를 통해 기초복지재단의 역할을 조명하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과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김포복지재단을 잘 이해하고 있는 14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초단위와 광역단위에 따라 지역복지재단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둘째, 기초복지재단은 지역에 필요한 복지정책을 만드는 역할, 즉 지역밀착형 정책을 세워 지역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었고, 셋째, 기존의 지역복지현장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한 실천역할을 원하는 것으로 확인함과 지원기준 완화와 같은 사회복지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지자체에서 할 수 없는 복지사각지대 지원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기초복지재단의 과제로는 첫째, 민과 관 사이에서의 균형된 자리매김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둘째, 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같은 민간단체와의 중복된 역할은 지양하여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기초복지재단의 시설운영에 부정적 시각을 해소하기 위해 문제가 발생한 기관, 시설의 운영이 어려운 기관에 대한 한시적 인큐베이팅 위탁을 수행하는 등의 새로운 방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과 광역자치단체 출연 복지재단의 역할과 상황이 상이한 바 두 단위에서의 비교연구와 같은 다양한 논의와 함께 기초자치단체 출연 복지재단만이 추진 할 수 있는 차별화된 핵심사업 발전 방안 연구 또한 필요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roles of local welfare foundations and analyze their tasks through a case of Gimpo community foundation. For these study purposes, 14 participants, who have understood the foundation very well, were chosen and qualitative study method employing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asks of a local welfare foundation should be clearly categorized based on whether it is primary local unit or metropolitan unit. Second, a primary local welfare foundation was expected to establish community based policy so as to solve local problems. Third, it was verified that practice roles to cover the area which local welfare frontline couldn t reach was aspirated. The tasks of primary local welfare found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to balanc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roles of private groups such as social welfare council or regional community welfare consultative organization. Third, plans to relieve negative prejudice against primary local welfare foundation were drawn.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ole and situation of the regional welfare foundations funded by basic autonomous bodies and the welfare groups funded by regional autonomous communities differe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how to develop differentiated core businesses.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