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의 생애 전략으로서의 지역 간 모빌리티: 청년들의 이주 의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Residential Mobility as a Life Strategy for Youth: An Analysis of Migration Intentions Among Young People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저자명
- 김이선(Ee-Sun Kim)
- 간행물 정보
- 『지역사회학』제25권 제3호, 5~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오늘날 청년세대의 지역이동을 모빌리티 이론의 관점에서 생애 전략의 차원으로 해석할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다. 전통적으로 청년의 국내 이동은 고용, 더 좋은 일자리, 대도시 문화 향유의차원에서 설명되어왔다. 그러나 이동 방향과 기제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2020년대의 청년층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넓은 접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제기된다. 이에 이 연구는 기존 인구이동논의에서 다루었던 주거 지역 중심의 분석모형을 확장하여, 청년 삶 일반의 상태와 미래 전망 관련 변수들이 이주 의향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청년들은 경제적 여건에서나, 주관적 웰빙 차원에서, 그리고 미래 전망의 실현 가능성 차원에서, 부정적인 경험이 있거나 삶의 제약을 인식하는 경우 타 지역으로의 이주 의향 가능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는 청년 세대가 거주 지역과 이동 방향을 막론하고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를 일종의 생애 전략으로 고려하고 있을 가능성을 확인해준다. 또한 청년층 내 수도권 거주 청년과 비수도권 거주 청년 간의 차이가 발견됐다. 자신의삶의 제약에 대한 인식, 미래 실현에서의 조건적 불리함이 이주 의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지만, 그러한 영향력이 유의하게 나타나는 변인이 비수도권 거주 집단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같은 결과는 청년층의 이동과 관련한 인구정책에서 이들의 생애 전망과 지역 맥락을 함께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to interpret the regional mobility of today’s youth through the lens of mobility theory as a dimension of life strategy. Traditionally, domestic mobility among young people has been explained in terms of employment, better job opportunities, and the enjoyment of urban culture. However, to adequately explain the diverse patterns and mechanisms of youth mobility in the 2020s, a broader approach is necessary. This research expands upon existing population mobility models by incorporating variables related to the general state of youth life and future prospects, examining how these factors influence migration intentions. The analysis reveals that young people’s negative experiences or perceptions of constraints, in terms of economic condition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feasibility of future prospects, increase their likelihood of intending to migrate to other reg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youth may consider migration to different areas, regardless of their current residence, as a form of life strategy. This study also finds differences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youth within the youth cohort. While perceptions of life constraints and conditional disadvantage in future realization are common to both cohorts, the variables that are significantly influential are more pronounced in the non-metropolitan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pulation policies related to the migration of young people need to more actively consider both their life prospects and local context.
목차
Ⅰ. 연구의 배경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