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이용수 29
- 영문명
- An Analysis on Productivity Change of Regional the Community Credit Cooperatives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김병철(Kim, Byung-Cheol)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173~18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지역별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기존에 수행했던 연구를 참조해 2013부터 2018년까지 거리함수를 이용한 Mamquist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생산성변화를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분석기간 동안 총요소생산성의 평균 변화는 1.102로 평균 10.2% 향상되었고, 나누어 살펴보면 기술효율성변화가 1.002, 기술변화가 1.1로 총요소
생산성의 평균 변화가 향상된 것은 기술변화의 향상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효율성변화를 나누어 살펴보면 순수기술효율성변화는 평균 0.996으로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효율성변화는 1.006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효율성변화의 퇴보는 순수기술효율성변화의 퇴보에 기인 한 것으로 나타나, 순수기술효율성변화의 향상이 필요한 것으
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인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생산성 변화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생산성 변화를 살펴보면 모두 년도별로 총요소생산성 변화가 향상되었고, 2002년부터 2012년까지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생산성 변화의 향상을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생산성 변화의 향상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생산성 변화의 향상을 위한 실무적 방안으로 첫째,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화, 둘째, 직원들의 리스크관리 능력과 자산관리능력 함양, 융합 상품 개발을 위한 전문 금융인 양성, 셋째, 저비용 고효율의 공동 관리방안 모색, 넷째, 특화전략을 통한 열성고객 증대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productivity change using Mamquist productivity index using distance function for regional the community credit cooperatives in each region from 2013 to 2018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conducted from 2002 to 2012.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hange in total element productivity
during the analysis period improved by 10.2% on average. When subdivid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technology change was improved to 1.1 on average, net technology efficiency change was regressed to average on 0.996, and scale efficiency change was improved by 1.006. It has been shown that improvement of
pure technology efficiency change is needed.
When compar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from 2002 to 2012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from 2013 to 2018,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was improved by year,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productivity change.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Four practical ways to improve total factor productivity change were presented.: First, the efficiency of work processes;
Second, fostering employees risk management and asset management capabilities;
Third, search for joint management of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Fourth, increasing loyal customers through specialized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MPI 모형
Ⅲ. 실증연구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