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308
-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Retiree’s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Non-financial Areas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위세아(Wee, Seah)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85~9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은퇴자의 건강한 삶을 추구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민노후보장패널 6차년도 본조사와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은퇴하였다’라고 응답한 은퇴한 가구주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은퇴자가 겪는 변화를 살펴보고 노후준비의 비재무적인 영역인 신체적 건강 요인, 심리적 건강 요인, 여가생활, 대인관계를 통해 은퇴자의 노후 삶과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은퇴자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41.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퇴자의 우울, 신체적 건강상태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그리고 여가만족, 교육수준, 사회적지지, 심리적 건강상태, 건강한 생활 습관, 연령,혼인상태 순으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은퇴자 삶의 변화에 따라 우울과 같은 심리적 건강요인, 노년기진입에 따른 신체적인 변화, 생활환경의 변화 등이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은퇴자의 삶의 만족감 향상을 위해 은퇴 이후 삶을 준비하기 위한 개인적·사회적 노력이 제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retirees lives and to present direction for pursuing healthy lives of retiree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tired householders who replied Retired using the ‘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KReIS)’ 6th Year Survey and additional survey material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retired people on their retirement life through physical health factors,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leisure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d people were 41.9% explanatory, depressed, and the physical health was the most influential. And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leisure, educational level,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health, healthy lifestyle, age, and marital status affect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y presente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tired person 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