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07
- 영문명
- The Effect of Subjective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ing 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최미영(Choi, Mi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21~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분석 자료는 2017년 9월 30일부터 10월 21일까지 경기도 시흥시와 안산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 중인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31명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그 중 자녀양육을 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177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23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는 양육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지지는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
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사회적지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research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ose who us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iheung of Gyeonggi-do
and Ansan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21, 2017, and a total of 177 peopl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method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tor effects.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SPSS 23.0. The results showed that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In addition, social suppor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policy and practical alternatives for improving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for married migrant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