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314
- 영문명
- An Investigative Study about Migrated Women and Their Process of Divorce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임원선(LIm, Won Sun) 정혜원(Jeong, Hye-Won)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41~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결혼해체를 예방하고 건강한 다문화가정 육성과 자립지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결혼해체를 경험한 결혼이주여성 8명을 대상으로 결혼선택애서부터 결혼생활, 해체과정 그리고 해체 이후의 제반 과정을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이 겪는 결혼해체 과정은 ‘절망’, ‘버티기’ 그리고 ‘저항’이라는 중심현상
을 경험하면서 시작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결혼 동기의 불안정성’, 맥락적 조건은‘기대차이’,‘불신’, ‘배제’였다. 중재적 조건은 ‘가정폭력’, ‘발목잡기’, ‘주변인’, ‘노예취급’ 그리고 ‘현실적 어려움’이었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은‘지지체계 구축’, ‘정체성 확립’, ‘자립의지’로 이러한 전략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희망’과 ‘혼란’이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제결혼을 선택
한 외국인 여성과 한국인 남성을 대상으로 혼전 교육 강화, 다문화가정의 가족단위의 상호문화이해 교육 실시, 다문화가족 사례관리 사업 확대 강화, 결혼이주여성 멘토링 사업 강화, 결혼이주여성 생애주기별 일자리 지원정책 체계화 및 일·가정양립 보육정책 실시, 주거와 의료, 상담서비스 체계화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o prepare a plan that prevent a divorce of multicultural family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health multicultural family and support their self-reliance ,this study has analysed what these eight marriage-migrant women has experienced with a ground theory that was based on their choice of marriage, marriage life, divorce process and the whole process after the divorce. The result showed us that their divorce were started as they experienced following central-condition steps; ‘despair’, ‘endurance’ and ‘resistance’. The causal condition was ‘an unstableness of marriage motivation’ and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a gap of expectation’, ‘distrust’, and ‘exclusion’. The mediate conditions were ‘domestic violence’, ‘strain’, ‘people around them’, ‘slave-like treatment’ and ‘practical
challenges’. And the action/interaction conditions were ‘constructing a support system’, ‘establishing an identity’ and ‘will of independence’. And the result through these strategies were ‘hope’ and ‘chao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ollowing factors were proposed;
tightening the fo premarital education toward both Korean man and foreign woman that chose an international marriage, enforcing the family unit education that is about understanding mutual culture, tightening the increas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case management service, tightening the mentoring service for marriage-migrant women,
systematisation of job supporting service based on different life stages of the marriage-migrant women, enforcement of day nursery policy that coexists with work and family and systematisation of residence, medical care and counsel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