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이용수 233
- 영문명
- An Essay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Discourse about Volunteerism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이정기(Lee, Jeonggi)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67~8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천년대 이후 한국의 자원봉사 현상에 대해 담론 분석의 시안을 시도한 것이다.
특히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제정 전후를 중심으로, 우리 사회의 자원봉사 담론의 변천 과정과 그 의미는 무엇인지 질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의 개념과 우아영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시론을 전개하였다. 본격적인 연구 수행을 위해서는 방대한 자료 수집과 분석이 오랜 기간 이루어져야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연구의 방법에 대한 타당성 점검을 위해 본 연구 시안을 작성하고 부분적인 분석의 결과와 예시를 제시하였다.
2000년대 한국 사회에서 자원봉사에 관한 담론의 형성과 변화의 내용과 의미는 무엇인가를 연구질문으로 삼아 다음과 같은 내용에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자원봉사활동기본법 제정과정을 포함한 자원봉사 담론의 범위, 둘째, 자원봉사 담론의 흐름 추적, 셋째, 자원봉사 담론의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했다. 담론이 언어의 사회적 실천이라는 점에 착안
하여 정부, 국회, 언론 등에서 수집한 자원봉사 관련 텍스트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수준에서 분석을 시연하였고, 그 과정을 예시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향후 대량의 자료 분석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분석 결과도 지배담론의 노출과 저항담론의 탐색으로 귀결될 수있었다. 끝으로 자원봉사 연구에서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시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is an essay that attempted to develop a discourse analysis on the volunteer phenomena in Korea since the 2000s. In particular, this article aimed to qualitatively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e and the meaning of volunteer discourse in Korean society, mainly around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To this end, I applied the concept of Fairclough 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the method of analysis of Woo. In order to conduct a full-scale study, extens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ill have to be performed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study drafted the research proposal and presented the results and examples of partial analysis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method.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the discourse on volunteerism in Korean society in the 2000s. The following points were considered. First, the scope of volunteer discourse, including the process of enacting the Framework Act o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secondly, the flow of volunteer discourse, and third, the social and political meaning of volunteer discourse. Based on the fact that the discourse is the social practice of language, the texts related to volunteers collected by the government,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media et. al. were discussed and analyzed at three
levels over time. By showing the process through examples,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a large amount of data in the future. The exposure of ruling discourses and the search for resistance discourses were
successful. Finally, I described the effects of this research proces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volunteer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담론 분석의 이론적 배경
Ⅲ. 이천년대 한국 사회의 자원봉사 담론 분석의 실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