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이용수 218
- 영문명
- A Study of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es of Long-term Overseas Volunteer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구지윤 (Ku, Ji Youn) 정진경(Jung, Jin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99~12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전환의 측면에서 장기 해외봉사자의 봉사활동경험을 귀국 이후 진로 선택의 전 과정에 걸쳐 확장적으로 이해하고, 진로전환 과정에서의 맥락적, 중재적 조건을 분석함으로써 성공적 진로전환 지원체계를 제언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코이카 일반봉사단으로 2년간 해외봉사활동을 수행하고 귀국한 10명의 귀국단원이며, 반구조화된 질문지
를 활용한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96개의 개념, 35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중심현상은 ‘고군분투 속 발현되는 잠재력과 자아성장’으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는 ‘축적된 역량 차별화를 통한 신(新) 진로개척’으로 도출되었다. 전공과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호환성 및 진로전환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전공 융합형’, ‘대안 창
출형’, ‘진로 창의형’ 이라는 진로전환 유형이 분류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기 해외봉사자들이 경험하는 두 번의 진로전환 중 제 1전환기에서는 봉사자의 역량에 적합한 업무배치와 국제개발협력 역량증진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병행을, 제 2전환기에서는 장기 해외봉사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식변화와 정착지원시스템의 적합성 향상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long-term overseas volunteers in terms of career transition and in an extended way throughout the course of career choice after returning to Korea.96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10 volunteers who returned from overseas volunteer work for two years and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is study appli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by Strauss & Corbin and in open coding, 96 concepts, 35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emerged from the data.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expressing potential and self-growing in thestruggle alone’ and the Core category was New career path improvement through accumulated competency differentiation . Also, the career transition of long-term overseas volunteers has been classified as career convergence type, Alternative generative type and career creativity type. Through this study, we derived the support services and social and policy suggestions for a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after the return of long-term overseas volunte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