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이용수 207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lderly Housing Model in the Elderly Society and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김향선(Kim, Hyang Seon) 황희숙(Hwang, Hee Sook) 이금숙(Lee, Geum Suk) 조미영(Cho, Mi 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141~1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선진국에서는 시설보호의 한계와 지역사회에서의 공동의 협력구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소규모의 자율적인 노인공동생활주택을 대안으로 개발하고 있다. 즉 노인공동생활주택이란 노인들이 자율적이고 외롭지 않으면서 편리하고 안전한 노후생활을 위한 주거대안으로서, 단지 규모는 20가구 이내의 소규모, 기능은 노인들의 취약한 건강상태와 심리상태를 보
호하도록 설계되어 노인들의 독립적 삶을 지원하기 위한 관리서비스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가오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하여 노년층을 위한 주거의 중요성을 부각 시키고, 노년층의 주거욕구도를 분석하여 노년층의 노인주거복지계획을 위한 기본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북부 5개시 (의정부, 양주, 동두천, 파주시, 포천시)에 살고 계시는 만 50대 이상부터 75세 미만까지의 응답자(250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SPSS Window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수준에 따라 평균, T검증,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노인공동생활주택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In advanced countries, the government has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facility protection and is developing small, autonomous community housing for the elderly as an alternativ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have a management service system to support the independent lives of the elderly, designed to protect the
weak health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elderly within 20 households, while securing autonomy for the elder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ousing for the elderly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super-aged society, and to analyze the housing needs of the elderly to present the basic direction for the elderly housing welfare plan. To that end, the average, T-verification, and ANOVA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nalysis through the SPSS Window Program for respondents aged over 50 to 75 living in five citie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parliamentary, Yangju, Dongducheon, Paju and Poche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Korean-style elderly housing.
목차
Ⅰ. 서론
Ⅱ. 경기도노인주거정책에대한설문조사
Ⅲ. 노인공동주택 각 요인별 기술적 통계
Ⅳ. 설문조사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