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이용수 631
- 영문명
- A Study on Affecting of Sustainability of Volunteering and Volunteer’s Motivative Participation, Relationship, Sociability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박현주(Park, Hyunjoo) 구혜영(Koo, Hye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5~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이 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는데 있다. 또한 봉사활동 지속성을 활동만족도와 참여의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보다 종합적인 차원의 활동지속성방안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심층적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작구자원
봉사센터 220명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1개월(2018.3-4)동안 설문조사하여 195명의 응답결과에 대해 회귀분석 통계방법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은 봉사활동 지속성에 있어 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종속변수의 하위요소들과의 관계에서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은 봉사활동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고,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은 봉사활동 참여의지에도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원봉사 활동현장이나 자원봉사자 관리에 있어,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와 관계성, 사회성 등을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관리기법, 효과적인 자원봉사활동 지원방법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olunteers motivative participation, relationship, sociability and other relevant factors which migh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ing in an integrated way.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ing was classified into satisfaction and participative willingness as to acquire precise understanding and find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ing. To achieve this goal, 220 of volunteers of Dongjak-gu areas were surveyed for 1 months(Mar.-Apr. 2018) and 195 of their answers were analyzed based on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appeared that volunteers motivative participation(+),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ing. In detail, volunteers motivative participation(+),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ve willingness of volunteering.
On a basis of these results, the ways to guide and assist volunteers in order to sustainability of volunteering which will increase their motivative participation,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