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387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 of Parental Los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Early Childhood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임승희(Lim, Seung Hee)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8권 제2호, 233~24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인 대학생의 초기아동기 시절의 조기 부모사별로 인해 성장과정에서 겪었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3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면접을 2회 혹은 3회로 진행하였고, 연구참여자 모두는 자신의 부모상실에 대하여 평생 처음 이야기해보는 경험을 가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먼저, 면담 내용을 전사하고 진술들을 전반적으로 숙지하고 의미단위를 묶은 후, 주제군으로 분류하고,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는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37개의 의미 단위와 14개의 주제를 발견하였고, 이들 주제의 속성을 파악하여 공통적인 5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5개의 본질적 주제는 (1) 부모의 사망, (2) 남겨
진 흔적들을 통해 조금씩 알아가는 고인의 존재, (3) 초등학교시절의 정신적 방황, (4) 학교생활, (5) 가족관계에서의 부모상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s who had suffered parental loss during their growth. To do so, two or three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performed towards three study participants, and all these study participants talked about parental loss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such process interview content were transcribed, overall statements were understood, meanings and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37 meaning words were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based on
meanings. And 14 subjects were found, and after figuring out the properties of subjects 5 essential subjects in common were drawn : (1) death of a parent(s); (2)existence of the deceased which is progressively learned from traces left; (3)mind-wandering during elementary-school years; (4) school life, and; (5) parental loss in the family relationship.
Future tasks and a proposal based on the study findings like above have been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초자치단체 출연 지역복지재단의 역할과 과제
- 결혼이주여성의 주관적인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령사회와 경기북부지역 노인공동주택 모델 개발 연구
- 장기 해외봉사자의 진로전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여성 북향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원봉사 담론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시론
- 지역별 새마을금고의 생산성 변화 분석
-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시설의 윤리적인 CCTV 운영관리 방안 연구: 노인과 시설종사자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원봉사자 참여동기, 관계성, 사회성과 봉사활동 지속성과의 영향관계
- 비영리조직과 기업의 파트너십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및 제언
- 초기아동기 부모사별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주여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