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춘향전』 中 춘향방 그림사설의 변화 양상과 의미

이용수 84

영문명
Change pattern and meaning of the painting Saseol displayed in the Chun-hyang room shown in hun-hyang jeon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사은영(Sa Eun-you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102輯, 121~14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춘향방 그림사설은 『춘향전』의 초기 이본(異本)들에서부터 출현하여 오랜 시간을 거쳐 그림의 종류, 그림이 걸린 위치, 그림의 기능이 다채롭게 변화되고 있었다. 따라서 춘향방 그림사설의 변화를 이끌어냈던 근본원인에 집중하여, 춘향방 그림사설의 변화에 따른 새롭고 특별한 경험들이 주는 의미를 파악하였다 춘향의 방은 춘향의 취향과 성격을 설명하고 이도령과의 첫날밤을 치르는 중요한 서사 공간이다. 이 공간에 그려진 춘향방의 그림들이 19세기 전반부터 문인화에서 민화로 그 종류가 변하였고, 그림이 걸린 위치 또한 방안에서 집안으로, 그리고 다시 방안으로 이동하였다. 그림의 종류와 위치의 변화는 감상화-길상화-유희화-주제화로 그림의 기능을 변화시키며 19세기 『춘향전』 향유층에 춘향방의 그림에 담긴 새롭고 독특한 경험과 가치를 전달하였다. 춘향방 그림사설의 변화과정에서 주목할 점은 19세기 전반 문인화에서 민화로의 전환, 집안을 장식하던 생활 치레물이 19세기 중반 방안 장식화로의 전환, 그리고 19세기 중반 가장 번성했던 그림사설이 19세기 후반 이후로 점차 축소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의미는 19세기 전반부터 판소리와 판소리 소설 향유층이 중인계층을 중심으로 저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림들의 나열을 통한 공간묘사방식과 중국인물 중심의 고사인물도류의 그림소재는 중국문학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그러나 춘향방 그림사설은 『춘향전』 서사의 주제를 ‘烈’로 교조화함에 따라 축소·소멸되었다. 춘향방 그림사설은 오랜 시간 동안 전승되고 향유되었던 경쟁력 있는 사설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설변화를 추적할 수 있었고, 시대변화에 맞춰 가장 선호되던 방식을 그림사설에 반영하고 있었다. 따라서 춘향방 그림사설의 변화 양상과 의미는 『춘향전』 서사의 변화방향과 그 원인을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kinds of pictures, the location of the pictures and the functions of the pictures of Chun-hyang room s painting Saseol have been changing in various ways during long time from the different versions of Chun-hyangjeon to now.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focus reason leading to change of Chun-hyang room. In line with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new and special experiences caused by the change of Chun-hyang romm s paintin Saseol. Chun-hyang s room explains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 of Chun-hyang. Also, it is an important narrative space for the first night with Lee Doryung. It changes from Muninhwa to Minhwa in painting displayed in Chun-hyung room from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position where the picture is sequentially placed moved in the room and in the house, again in the room change of type and position of painting alters the function of painting to Gamsanghwa-Gilsanghwa-Yuhuihwa-Jujehwa. Based on this change, the value of the new and unique experience of Chun-hyang room s paintings in Chun-hyang jeon written in the 19th century is contributed to reader s desires. The striking change in Chun-hyang room s painting Saseol is the conversion of Muninhwa paintings to Minhwa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the conversion of living items, which use to decorate the house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o room decoration paintings. In th late 19th century, the most prosperous painting Saseol gradually diminishes. This change suggests an increase in the status of readers of Pansori and Pansori novels. In addition, based on the space description method using the arrangement of paintings and the painting materials of the ancient pottery paintings centered on Chinese people, it seemed to be influenced by Chinese literature. However, paintings Saseol shown in room of Chun-hyang was reduced and disappeared because the theme of Chun-hyangjeons changed to ‘Lyeol(烈)’. Chun-hyang room s painting Saseol has been handed down for a long time and it can be studied as a competitive Saseol. In particular, the most preferred method during the changing times was reflected in the painting Saseol, which indicated that change of Saseol can be studied in time-dependent. In the context, change pattern and meaning of Chun-hyang room s painting Saseol is able to explain the cause and the direction of change of Chun-hyangjeo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춘향방 그림사설의 변화 양상
3. 춘향방 그림사설의 변화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사은영(Sa Eun-young). (2019).『춘향전』 中 춘향방 그림사설의 변화 양상과 의미. 어문연구, 102 (1), 121-149

MLA

사은영(Sa Eun-young). "『춘향전』 中 춘향방 그림사설의 변화 양상과 의미." 어문연구, 102.1(2019): 121-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