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푸코의 윤리학 기획

이용수 222

영문명
The study of Foucault s ethical project-Focusing on the analysis of Introduction to Kant’s anthropolog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분선(Kim, Buns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7권 2호, 395~43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푸코의 후기 연구 주제인 주체와 윤리에 대한 고찰이 그의 앞선 연구와 단절된 연구가 아니라 푸코의 연구 초기에 이미 개념화 했던 작업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푸코 윤리학은 권력과 지식에 관한 푸코의 전기 연구에 대한 적극적 평가와는 다르게 많은 비판을 받으며 소극적인 평가를 받는데 그쳤다. 그의 전기 연구는 벗어날 수 없는 사회적 망에 대한 폭로와 소수자를 위한 분석을 중심으로 구성된 반면 그의 후기 연구는 개별 주체와 인간 그리고 윤리에 관한 연구로 구성되었다. 푸코의 전기 연구는 현대사회에 던진 도발적인 문제제기였던 것에 반해 그의 후기 연구는 개인과 주체의 문제로 해답의 실마리를 끌어내려는 근대 연구로의 퇴행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그의 윤리학 기획이 단기간에 새롭게 사유를 전환하며 이루어진 불완전한 연구이기에 전기 연구와는 단절된 연구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필자는 이러한 일반적인 해석에 의문을 품고 푸코 윤리학이 그의 앞선 연구들과 단절된 사유에서 출발한 연구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셸 푸코가 『칸트의 인간학에 관하여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서설』에서 보여주고 있는 칸트의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의 해석에 주목하여 푸코의 윤리학과 칸트의 인간학 사이에 연계성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방법을 취한다. 또한 푸코가 칸트 실용적 인간학의 주요 개념들을 분석하는 방식에 주목하여 푸코 윤리학이 칸트적 사유에 빚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정당화하고자 한다. 푸코는 칸트의 인간학을 칸트 윤리의 실존 지침서와도 같다고 평가하면서 인식론적 차원의 이해와 경험적 차원의 실천이 만나는 접점으로 칸트의 실용적 인간학을 해석한다. 그는 세계 시민, 선험적 경험적 이중체인 인간, 마음과 정신의 문제, 자기 구축과 윤리적 실천의 문제로 칸트의 실용적 인간학의 주요 개념들을 읽어낸다. 그런데 푸코의 해석을 통해 개념화된 칸트의 실용적 인간학의 개념들은 실제로 푸코가 자신의 후기 연구인 윤리학에서 활용하고 있는 고유한 개념들과 상당부분 일치한다. 또한 칸트의 인간학의 개념들을 이해하는 방식 또한 그의 윤리학에 등장하는 인간과 존재윤리에 대한 이해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이런 점들을 고려했을 때, 푸코 윤리학에서 등장하는 개념과 주장들이 급작스레 등장한 뿌리 없는 주장이라는 평가는 정당성을 얻기 어려울 듯 보인다. 왜냐하면 푸코의 실용적 관점에 관한 해설서는 시기적으로 푸코가 학위를 받기 이전에 완성한 연구로 그의 연구 초반에 이루어진 작업으로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은 푸코의 윤리학 기획의 단초들을 실용적 관점에 관한 푸코적 해석을 통해 발견하고자 한다. 또한 그 내용을 근거로 푸코 윤리학이 그의 오랜 기획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작업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이를 정당화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Foucault’s later study theme such as the review of subject and ethics was not disconnected from his previous studies but had already been conceptualized in the early studies. Foucault’s ethics received a lot of criticism and negative evaluations, unlike his earlier studies on power and knowledge which received positive reviews. His earlier studies were focused on the disclosure of an escapable social network and the analysis for minority people, whereas his later research consisted of analyses on individual subjects, humans, and ethics. Foucault’s earlier studies were considered as having raised provocative issues facing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as his later studies were criticised as a regression to a modern study, which focused on drawing clues for answers to the matters of individuals and subjects. Also, the dominant criticism is that his ethics projects was discontinued from this earlier studies, because it was incompletely done after a sudden shift to a new thought. The author of this study had doubt to such general interpretation and strived to reveal that Foucault’s ethics did not originate from the discontinuation with his earlier studies. To this end, Michel Foucault paid attention to Kant’s interpretation about anthropology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in the introduction of Kant’s work “Anthropology from pragmatic Point of View,” and tried to reveal a clear relevance between his ethics and Kant’s anthropology. Also, Foucault analyzed the major concepts of Kant’s anthropology and tried to justify that his ethics was indebted to Kantian Thought. Foucault interpreted Kant s anthropology as the practical guidelines of Kant’s ethics, and also as a contact point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an epistemological dimension and the practice of an empirical dimension. He also interpreted the major concepts of Kant’s practical anthropology as cosmopolitan, empirico-transcendental doublet, a matter of the soul and mind, a matter of self-construction and ethical practice. Kant’s practical anthropology that was conceptualized through Foucault’s interpretation actually corresponds to most of the unique and distinctive concepts of his later study on ethics. In addition, Kant’s way of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anthropology is much similar to Foucault’s way of interpreting human and ontological ethics that appeared in his ethics. Considering these points, the criticism of the concepts and arguments that appeared in Foucault’s ethics as a claim which suddenly appeared without roots seems difficult to obtain justification. It is because Foucault s commentary book on Kant’s anthropology had been completed before he earned this academic degrees, and therefore, it is regarded as one of his earlier studi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strived to find out clues of Foucault s ethics project in his interpretation of anthropology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tudy provides a new viewpoint that Foucault s ethics is a work that was completed as a result of a long-term planning, and seeks to justify it.

목차

1. 인간학의 목표
2. 인간의 발견
2.1. 인간학의 지위
2.2. 내적 자기 인식과 구성하는 주체
3. 실용적 인간
3.1. 선험적- 경험적 이중체인 인간
3.2. 세계시민으로서의 인간
4. 마음, 지성, 그리고 정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분선(Kim, Bunsun). (2015).푸코의 윤리학 기획. 문화와융합, 37 (2), 395-432

MLA

김분선(Kim, Bunsun). "푸코의 윤리학 기획." 문화와융합, 37.2(2015): 395-4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