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松江 漢詩에 나타난 自然의 二重的 이미지 硏究

이용수 47

영문명
A Study on Dualistic images of nature appears Songgang s Chinese poetr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진욱(Kim, jin-wook)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7권 2호, 337~36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철에게 있어서 자연이 어떤 의미를 가졌고, 정철은 자연을 어떻게 받아들여 문학 작품을 창작하였는가는 그가 남긴 작품의 의미망을 고찰하는 데 중요한 문제이다. 실제 정철의 자연에 대한 인식은 당시 일반 사대부들의 인식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작품 속에서 쉽게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그만의 독특한 자연관에서 기인하고 있다. 즉, 정철에게 있어서 자연은 당시의 사대부들이 지향하였던 도학적 자연과 장자가 추구하였던 무위의 자연이 충돌하고 있는 고정적이지 않은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정철의 자연관은 그의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에서 통일성 있게 일관되어 나타나고 있지 않다. 그의 작품을 분석해보면 개별 작품에서 나타나는 자연이 도학적 자연관에 기초하는가 하면, 무위의 자연관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그의 자연관을 단언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 역시 하나의 자연관으로 볼 수 있겠다.’라는 것이 본 논의의 출발선이다. 본 논의는 철학 논쟁이 아니라 문학 연구이고, 문학 연구의 목적은 항상 작품의 폭넓은 이해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철의 도학적 자연관은 작품 창작에서 내적 성찰을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의 작품의 상당수가 맑고 깨끗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고, 그를 닮고자 하는 열망이 시화된 것이다. 곧 이러한 열망이 작품의 창작 동기이자, 내적 주제인 것이다. 또한 자연이 관조의 대상이 아니라 실재의 반영이라는 그의 자연관은 작품이 관찰과 묘사를 통하여 예술미를 획득하는데 기여하였다. 정철의 도교적 자연관은 그의 삶에서 유래하였다. 어린 시절 겪었던 가문의 참혹한 역사는 깊은 내적 상처가 되었다. 여기서 형성된 세계관은 모든 대상을 이분화 하는 인식을 형성시켰다. 그의 자연관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아 자연을 현실 탈출구로 인식하게 하였다. 곧, 자연은 현실이자, 현실 밖이라는 이중적 이미지를 갖게 된 것이다. 이러한 정철의 자연관은 역설적이게도 그의 작품을 풍부하게 만들어 주었다. 그가 지닌 천재적 재능과 이러한 자연관이 그만의 독특한 문학세계를 형성한 것이다.

영문 초록

What is the meaning of Natural and to Jeong Cheol, Jeong-cheol is how to handle natural Has the novel creators of the work he has left it to the semantic networkIt s an important matter. Indeed, awareness of the nature of Jeong-cheol is showing a lot of time differences and perceptions of ordinary gentry. In fact, in these works it can be read easily. The reason for this has been attributed to his own unique view of nature. In other words, according to Jeong Cheol nature is due to non-stationary targets are oriented gentry who was your enemy dohak nature and inaction of the natural firstborn who seek that conflict. Jeong-chol s view of nature as presented above has not been consistently make unity appear on the artwork of his material nature. If you do haebomyeon analysis of his work is based on a view of nature dohak ever view of nature that appear in the individual works, it is based on the inaction of view of nature. It is defined in the strict sense of his view of nature can be difficult.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itgetda can also view a single view of nature. “It is called the starting line of this discussion. This discussion is not a philosophical debate and research litera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of literature is always because it is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work. Confucianism of nature Jeong-cheol has been acting as a vehicle for introspection in creative work. Many of his works to see the crystal-clear beauty of nature, the desire to be like him, became poetic. That creative motives and aspirations of these works, and the internal subject. In addition, natural and not subject to contemplate his view of nature reflects the reality that contributed to obtain the yesulmi through observation and describe the work. Taoist view of nature of Jeong-cheol is derived from his life. Disastrous history of childhood family was spared deep inner wounds. The world is formed to form a recognition that differentiation to any destination. Also influenced his view of nature was recognized as a natural way out of reality. In other words, nature is real and will have the dual image of the reality outside. Jeong-cheol of this view of nature is paradoxically has made to enrich his work. This view of nature will have his own form this unique literary world with his talent and genius.

목차

1. 序論
2. 道學이 빚어낸 自然
2.1. 內的 省察로의 昇華
2.2. 觀察과 描寫를 통한 耽美
3. 無爲가 빚어 낸 自然
3.1. 現實의 脫出口, 自然
3.2. 道敎的 理想鄕, 自然
4.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욱(Kim, jin-wook). (2015).松江 漢詩에 나타난 自然의 二重的 이미지 硏究. 문화와융합, 37 (2), 337-368

MLA

김진욱(Kim, jin-wook). "松江 漢詩에 나타난 自然의 二重的 이미지 硏究." 문화와융합, 37.2(2015): 337-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