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의 장소자산과 도시이미지

이용수 100

영문명
Local Government’s Place Asset and Image of City -The Paradox of Placelessness in Dongducheo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민주(Kim Minju)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0권 제3호, 371~412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는 도시이미지에 영향을 준 장소자산이 상실되면 기존의 도시이미지는 약화되는 것일까라는 궁금증에서 시작되었다. 장소자산이 도시이미지에 영향을 주었다면 해당 장소자산이 상실되었을 때 기존의 도시이미지도 약화될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에 반대되는 사례분석의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미군공여지라는 장소자산으로 인해 미군기지촌 혹은 미군부대 도시라는 이미지를 지니게 된 동두천시의 사례를 분석한다. 분석에 따르면, 상실되는 장소자산은 전략자원이 되어 오히려 의미부여 등의 활동을 통해 기존의 도시이미지가 더 지속되는 결과를 낳는다. 미군공여지가 반환되면서 도시이미지에 영향을 준 장소자산이 상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실된 장소자산을 더 활용하게 되면서 기존의 도시이미지가 약화되기 보다는 더 지속되는 것이다. 특히 미군기지촌이라는 도시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느껴져서 그 이미지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열망이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기존의 미군기지촌이라는 도시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준 상실된 장소자산을 전략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비록 상실된 장소자산이지만 계속 이용되고 전략적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미군기지라는 장소자산에 의한 기존 도시이미지도 약화되기 보다는 지속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는 역설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상실되는 장소자산이 더 이상 전략자원이 되지 않을 정도의 지원과 혜택을 발생시켰다면, 그 이후에는 전략자원으로의 활용도가 낮아져 궁극적으로는 도시이미지가 약화될 수 있다. 이는 이중적 역설 현상의 발생이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소자산과 도시이미지 간 연구에서 장소상실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도의 분석이고, 또 통념과 다른 분석결과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ity image is weakened if the place asset that affected the image of city is disappeared. In other words, if the place asse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city imag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xisting city image will be weakened when the place is vanished. However, this study presents the opposite case. The place asset related to the city image in Dongducheon is analyzed in this paper using data on components of the image and placelessness. Dongducheon has the image of US military bases due to the US military camps account for about 42 percent of the city s land.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 placelessness becomes a strategic resource, which results in the existing city image being more persistent through activities such as giving meaning. Despite the city image that citizens in Dongducheon want to weaken, they continue to strategically utilize the place that created the city image. As a result, the image of US military bases continues in Dongducheon. This is an unexpected paradoxical phenomenon. However, if the placelessness is used strategically enough in Dongducheon, then it will not be used anymore and ultimately the image of the city may be weakened. This is the occurrence of a dual paradox.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the placelessness in the study of place and the city image and suggests a new perspective.

목차

Ⅰ . 서론
Ⅱ . 이론적 배경: 장소자산과 도시이미지
Ⅲ . 선행연구 검토
Ⅳ . 지방자치단체의 장소자산과 도시이미지 사례
Ⅴ . 연구의 함의와 결론: 전략과 역설 그리고 이중적 역설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주(Kim Minju). (2019).지방자치단체의 장소자산과 도시이미지. 인문사회과학연구, 20 (3), 371-412

MLA

김민주(Kim Minju). "지방자치단체의 장소자산과 도시이미지." 인문사회과학연구, 20.3(2019): 371-4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