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사 ‘ break ’ 와 ‘ 깨다 ’ 의 어휘 의미지도

이용수 81

영문명
Semantic Maps of the English Verb ‘break’ and the Korean Verb ‘kkeda’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정희란(Jung Heera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0권 제3호, 285~31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의어 동사 ‘break’와 ‘깨다’를 어휘 유형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의미지도를 완성하는 것이다. François(2008)가 제시한 공어휘화(colexification)의 개념을 바탕으로 영어 동사 ‘break’와 한국어 동사 ‘깨다’의 의의(sense)를 정하고 두 동사의 의미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의미지도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공어휘화란 두 개의 기능적으로는 다른 의미로 구분되는 의의들을 동일한 하나의 어휘형태로 연관 지을 수 있으면 공어휘화 된다고 한다. 연구를 위해서, 의의의 존재론적 특성과 기능적 차이점을 고려하고 실증적 검증을 통해서 BREAK의 의의를 정한 후, 두 동사가 서로 공어휘화하는 것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BREAK의 의의는 대상이 파괴되는 {destroy}, 중단을 의미하는 {discontinue}, 어기는 행위인 {breach}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각 의의는 목적어에 따라 의의를 더 세분화하여 나누었다. 즉, {destroy}는 , , , 등 네 가지의 의의로 분류되고, {discontinue}는 , 그리고, {breach}는 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영한 대조 분석을 통해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영어는 {destroy}의 의의에서, 그리고, {discontinue}에서는 , {breach}의 의의 중에서 를 제외한 거의 모든 의의를 가지고 있었으며, ‘break’로 공어휘화 하였다. 한국어는 거의 모든 의의를 가지고 있지만, {destroy}의 의의에서 , 에 속하는 일부 어휘는 ‘깨다’로 공어휘화 하지 않았다, 또한, {breach}의 의의에 속하는 의 의의는 없었으며 영어와 공어휘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비교 분석한 연구를 바탕으로 ‘break’와 ‘깨다’의 의미지도를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Jung, Heeran. the semantic maps of the English Verb ‘break’ and the Korean Verb ‘kkeda’. This study analyzes the English verb ‘break’ and the Korean verb ‘kkeda’ based on the Lexical Typology (François 2008) and shows semantic maps of the two verbs. It presents the idea of colexification which refers to the situation when two or more of the meanings in our lexical sources are covered in a language by the same lexical item. It also determines the senses of BREAK to make semantic networks based on the ontological properties of each sense and empirical observations and compares each language with how it colexifies the ot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BREAK has three senses: {destroy}, {discontinue} and {breach}. Also, each sense can be divided into several semantic areas depending on the objects of the verb. For example, {destroy} has four areas; , , and , has two; and , {breach} has two; and . The outcomes from the comparison study are as follows; English colexifies all the senses except for of , of in the sense of {destroy}, of in the sense of {discontinue} and in the sense of {breach}. Although Korean colexfies almost all senses, there are some senses or objects of verb which don’t colexify in English; Korean doesn’t colexify a few senses of , and in the sense of {destroy}, and of in the sense of {breach}. Lastly, this study also shows the semantic maps of the two verbs based on the results.

목차

Ⅰ . 서론
Ⅱ . 어휘 유형론의 연구 방법과 절차
Ⅲ . ‘break’와 ‘깨다’의 어휘 의미지도
Ⅳ .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희란(Jung Heeran). (2019).동사 ‘ break ’ 와 ‘ 깨다 ’ 의 어휘 의미지도. 인문사회과학연구, 20 (3), 285-310

MLA

정희란(Jung Heeran). "동사 ‘ break ’ 와 ‘ 깨다 ’ 의 어휘 의미지도." 인문사회과학연구, 20.3(2019): 285-3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